항목

  • 구름 뿌리기 cloud seeding
    강수를 유도하기 위해 응결핵으로 작용하는 여러 가지 입자물질을 인공적으로 살포하는 것.|1946년 처음으로 실험되어 졌고, 그후로 비행기·로켓·대포 및 지상 발생기를 이용하여 구름 뿌리기가 행해졌다. 많은 물질들이 응결핵으로 사용되었으나 드라이아이스와 요오드화은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과냉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상/기후
  • 구름뿌리기 cloud seeding
    구름를 살포하는 장치이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구름 뿌리기 물질 雲----物質, cloud-se..
    구름에 응결핵이 될 수 있는 물질을 뿌려 구름을 인공적으로 상태를 바꾸거나 강수를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구름 뿌리는 현대판 ‘레인메이커’
    응결핵, 혹은 빙정핵이라고 부른다. 인공강우의 핵심 원리는 바로 응결핵과 빙정핵 역할을 하는 ‘구름’를 뿌려 구름이 비를 쉽게 내리도록 돕는 것이다. 구름뿌리기 위해 항공기나 로켓이 동원된다. 사용하는 구름구름의 종류와 대기 상태에 따라 다르다. 1000m 이상의 높은 구름은 꼭대기 부분의 구름...
  • 구름의 조절
    인공적인 뿌리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구름 뿌리기(cloud-seeding) 작업들 중에 일부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지만, 이 작업의 효과를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구름 뿌리기 자연적인 구름은 핵 주위에서 성장하는 빙정과 아주 작은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 수증기로 과포화된 영역 안...
  • 기상조절 氣象調節, weather modification
    법 등 밤 사이에 기온이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간단한 방법들이 어느 정도 성공한 기상조절의 예이다. 1946년 이후로는 강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름 뿌리기'(cloud seeding)로 알려진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는 지상의 발전기나 비행기 등을 이용하여 구름 속에 응결핵을 뿌려줌으로써 인공강수를 일으키는 방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인공강우 人工降雨, artificial rainfall
    방법에 의해 내리는 비를 말한다. 구름 속의 물방울들을 뭉치게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물질을 인공적으로 뿌려주게 되는데 이 물질들을 구름라고 하며, 인공강우를 구름 뿌리기(cloud seeding)라고 부르기도 한다. ① 드라이아이스(Dry Ice, 고형이산화탄소)는 영하 78.5℃까지 내려가는 매우 낮은 온도의 물질이기...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인공강우 人工降雨, rainmaking
    기우 춤이나 물에 돌멩이를 던지는 것 같은 원시적인 방법은 비를 내리게 하지 못했지만, 과냉각 구름에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화은을 살포하는 현대적인 기술로 미래에는 강우량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는 약간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구름뿌리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안개소산법 fog dispersal
    실시된다. 영상온도에서는 염류 입자를 뿌려 응결핵을 생성시키거나 버너로 가열하여 안개를 없애려고 많은 시도를 하지만 이 방법은 아직 신뢰성이 높지 않다. 반면, 영하온도에서는 지상에서 드라이아이스(고체상태의 이산화탄소)나 프로판 가스를 뿌려 많은 공항에서 정기적으로 안개를 소산시킨다. → 구름뿌리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인공강우 Cloud seeding, 人工降雨
    과정으로 인한 찬 비의 형성이다. 강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아이오딘화은을 이용, 인공적으로 구름 를 뿌리는 방법은 어느 정도 효과적인가? 이 문제는 구름 뿌리기 실험의 결과를 평가하기 어려워 기상학자들 간에 논란이 많다. 구름 뿌리기가 없었다면 강수가 어느 정도였겠는가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으며...
    도서 위키백과
  • 하지 夏至
    하므로 한 해 가운데 가을걷이 때와 더불어 가장 바쁠 때지요. 메밀 뿌리기, 누에치기, 감자 거두어들이기, 고추밭 매기, 마늘 거두기와 말리기, 보리 거두기...모가 다르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지요. 또 하지 무렵이면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는데 구름만 지나가도 비가 온다는 뜻으로 "하지가 지나면 구름장마다...
  • 2024년 페르시아만 홍수 2024 Persian Gulf floods
    강우 프로그램을 연관시켰다. 건조한 사막 기후와 높은 기온으로 인해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이전부터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강우 방식인 구름 뿌리기가 사용되었는데 이번 홍수의 원인이 아니냐는 의혹이었다. 아랍에미리트 국립기상센터(NCM)의 오마르 알 야지디(Omar Al Yazeedi) 부국장은 이러한 주장...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