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강외과학 口腔外科學, oral surgery
    사람의 턱과 그에 딸린 구조물의 질환, 손상 및 결손을 진단하고 수술하는 치과 전문분야.|구강외과에서 하는 가장 흔한 치료로는 이 뽑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밖에 구강외과적인 기술을 요하는 질환으로는 입과 턱에 생긴 낭종·종양·병소(lesion)·감염질환 등이 있다. 좀더 복잡한 질환으로는 턱과 얼굴의 손상,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구강악안면외과학 口腔顎顔面外科學, oral and maxillo..
    개념과 정의 구강악안면외과학구강이나 악(턱)안면 부위의 자각 혹은 타각 증상을 진단하고, 치료를 위해 외과적 처치를 기본으로 실시하는 치의학의 분과 학문이다. 구강악안면외과 질환에는 구강악안면 영역의 종양과 외상뿐만 아니라 구강점막질환, 화농성 염증, 타액선 질환, 그 밖의 구강이나 양악의 수술 혹은...
    분류 :
    의약학 > 치의학 > 구강악안면외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구강외과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口腔外科
    구강외과(口腔外科, 머리, 목, 입, 턱, 그리고 성형수술에 집중하는 외과이다. 정식명칭은 구강악안면외과(口腔顎顔面外科)이다. 다양한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한다. 치과 임플란트: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아 뿌리를 식립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킨다. 악안면 재건 수술: 외상, 종양...
    도서 위키백과
  • 두경부외과학 頭頸部外科學, head and neck surgery
    모든 질환을 담당하는 외과적 분과 학문이다. 두경부외과학은 이비인후과학의 하부 분야로 이비인후과학은 통칭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이라고도 한다. 두경부외과학에서는 구강, 타액선, 인후, 후두, 기관지, 경부 식도, 갑상샘, 그 외 경부에 발생하는 질환의 진단 및 수술을 포함한 치료를 담당한다. 역사와 주요 학자...
    분류 :
    의약학 > 이비인후과학 > 두경부외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종양외과학 腫瘍外科學, surgical oncology
    치료하는 외과학의 분과 학문이다. 종양(tumor)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자라 전이되는 조직으로 신생물(neoplasm)이라고도 한다. 악성 종양인 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역사와 주요 학자 종양의 존재는 고대 이집트의 미라 화석으로 남은 뼈의 종양, 기록 등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이집트인...
    분류 :
    의약학 > 외과학 > 종양외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성형외과학 成形外科學, plastic surgery
    성형외과학은 선천적 특징 혹은 후천적인 변형으로 인한 신체의 결함이나 기형을 수술 등 외과적인 방법으로 교정하는 외과의 분과 학문이다. 역사와 주요 학자 기원전 6세기 인도에서는 이마의 피부를 이용해 코를 재건하는 수술에 관한 기록이 있었다. 좀 더 근대적인 성형수술로는 1597년에는 이탈리아의 G. 타그리아...
    분류 :
    의약학 > 성형외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김용관 金用琯
    세포소기관에 영향을 미침을 관찰하고, 5-fluorouracil이 타액선종양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음을 학계에 보고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치과 마취학』, 『구강 외과학』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근면포상(1959), 보건사회부장관 표창장(1968), 서울대학교총장 표창장(1971), 국민훈장 동백장(1971) 등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출생 :
    1917년
    사망 :
    2002년
    경력 :
    서울대학교 교수 대한구강외과학회 회장, 학술원 회원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치의학자
    대표작 :
    치과 마취학, 구강 외과학
    성별 :
    분야 :
    과학/의약학
  • 치의학 齒醫學
    완전한 보철물제작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불소를 이용한 치아우식증의 예방 확대로 질환양태는 전혀 달라지고, 치과교정학 · 심미치과학 · 임프란트치과학 · 노인치과학 분야의 확대와 함께 교통사고의 급증으로 인한 악안면구강외과학 · 악안면미세수술학 · 악안면보철학 등도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의약학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
    학술발표회 등을 통한 학술교류를 시행하고 있으며, 미국·유럽의 구강악안면외과학회와도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다. 1998년 현재 846명인 정회원은 구강악안면외과학을 전공하는 대한민국 치과의사로서 이사회의 심의를 거쳐 입회할 수 있다. 임원은 이사장·학회장·상임이사(총무·재무·학술·간행·국제)와 기획...
    시대 :
    현대
    위치 :
    대한민국
    설립 :
    1959년 6월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의약학
  • 치의학 齒醫學, dentistry
    분류되어 치과대학 병원에서 독립적인 한 과를 구성하는 곳도 있다. 임상치의학 임상치의학은 병원에서 환자를 보는 데 필요한 영상치의학, 구강악안면외과학, 소아치과학, 구강내과학, 치과교정학, 치과보존학, 치과보철학, 치주과학과 앞서 이야기한 대로 의료기관에 따라 구강악안면병리학과 예방사회치과학 등의...
    분류 :
    의약학 > 치의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치의예과
    치과 분야의 기본적인 지식과 이를 이용한 과학적 접근방법을 배웁니다. 구강조직학 및 실습 치아를 구성하는 조직인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및 치수와 치아...이해하는 데 필요한 각 계통별 신체 기능의 향상성을 습득합니다. 외과학총론 질환의 병태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힘을 기르고, 외상성, 선천성 및 후천성...
    분류 :
    대학교 > 의약계열
  • 이열희 (1924년)
    명예회원에 위촉되고, 1981년 정년 퇴임과 동시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에 선임되었다. 1983년 3월 FICO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안면외과학 교실 명예교수로 활동했고, 그밖에 대한치과의사회 경북도회장, 대한악안면성형외과 부회장, 대한구강외과학회 부회장, 대한성형외과학회 이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구강악안면외과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