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교황이 자신을 대신해 교회행정이나 외교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파견하는 성직자. papal legate라고도 함.|교회법은 교황사절을 3가지로 구분한다. '교황전권사절'(교황측에서 보낸 사절)은 교황에게서 위임받은 권한을 가지고 특별한 임무에 교황을 대리하는 추기경이다. '교황대사' 또는 교황...
로마 교황청과 아직 정식 외교관계를 맺지 않은 정부에 대해 교황청을 대표하여 그 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담당하는 명의주교. 해당 국가와의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할 준비를 하거나 정치와 종교와의 혼합문제(학교 · 결혼 등)에 관한 정교협정(政敎協定)을 체결할 준비 등을 하기도 하며 주차국(駐箚國) 교회사정도 조사...
출처 필요 교황 특사(敎皇特使, llang)는 다른 국가나 지역 교회에서 교황의 자격을 대신하는 임무를 맡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를 일컫는 용어이다. 교황특사는 특별히 교황으로부터 기독교 신앙이나 성직과 관련된 문제 등에 관한 권한과 사명을 위임받은 직책이다. 교황 특사의 임명권은 전적으로 교황에게 ...
잉글랜드의 세속정치에 깊이 관여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잉글랜드 왕 존이 스티븐 랭턴을 캔터베리 대주교로 승인하도록 하기 위해 그를 잉글랜드에 보냈다. 협상이 실패하자 존은 파문당했고, 교황은 잉글랜드에 성무금지령을 내렸다. 그러나 1213년 5월 15일 판돌포는 존 왕이 개인적으로 굴복하여 나라를 교황...
파견사절(legati missi)의 한 형태. 교호아의 직접 대리자로서 교회업무를 처리하거나 교회의 중요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파견되는 사절. 11세기경부터 항상 추기경이 이 임무를 맡으면서 그 대외적인 위신이 높아졌다. 현재 그 권한의 성격이나 범위는 교황이 경우를 살펴 정한다. (⇒) 교황특사
수도사적인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한편 로마를 비롯한 주변지역에서 심한 혼란을 일으키던 하급귀족들을 제압해 민중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었다. 교황사절로 몇 차례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중에서 가장 중요했던 것은 투르 교회회의에 교황사절로 파송된 일로, 이 회의에서 베렝가르는 성체에 예수가 실제로...
수장이 되었다. 1503년에는 콘클라베의 일원으로 먼저 비오 3세(9월)와 그 다음 율리오 2세(10월)를 선출하는 데 참여했다. 1511년 볼로냐와 로마냐에 대한 교황사절로 임명되어 이듬해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를 다시 장악하는 일을 감독했다. 비록 동생 줄리아노가 피렌체 공화국에서 서열이 제일 높았지만 실제로...
6개의 수도원을 세웠다. 교황 베네딕토 1세(575~579 재위)는 그를 로마의 부제(副祭)로 임명하였고, 579년 교황 펠라지오 2세(579~590 재위)는 그를 교황사절(교황청의 유일한 외교 창구)로 임명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냈다. 그레고리오는 그곳에서 584년까지 황제 티베리우스 2세(578~582...
케룰라리우스 미카일 1세를 파문한 것이 레오가 죽은 지 3개월 후의 일이었기 때문에 유효한지의 여부는 기술적인 문제일 뿐이다. 로마 사절들은 교황의 사절들이었고 파문장은 교황의 통치방법이었다. 아무튼 그 파문은 오래 지속되어온 상황을 극적이고도 거창한 방법으로 공식화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 사건은...
인정받아 빠르게 승진했다. 1838년 베네벤토 지방 대표자(지방행정관과 동등한 직위), 1841년 페루자 지방의 대표자, 1843년 1월 브뤼셀의 교황대사(세속정부에 소속되며 교황사절 가운데 가장 높은 직위)에 이어 곧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페치는 벨기에에 3년밖에 머물지 않았지만, 이 기간은 그가 훗날 교황직을 수행...
교황 그레고리오 1세 밑에서 콘스탄티노플에 교황사절로 파견되어 로마 가톨릭 교회와 총대주교 요한 4세를 화해시키려 했다. 당시 요한 4세는 자신에게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그레고리오는 그것을 그리스도교 일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604년 그레고리오의 계승자로 선출된...
가진 자이다. 15세기 국제법상 각국 정부에 상주하는 사절을 파견하는 관례에 따라 교황청도 파견하게 되었다. 한국은 1966년 교황 공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면서 대사가 파견되었다. 교황사절은 교황청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지 않은 국가에 대하여 교황청을 대표해서, 그 나라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는 명의 주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