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교형 (동의어 교수형) 絞刑죄인의 목에 형구를 사용해 죽이는 형벌 제도. 내용 즉 교수형을 말한다. 이는 사형의 방법 중에서 비교적 온건한 형태에 속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춘추시대에 시작되었고,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시행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전근대시대에 사형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참형(斬刑)과 교형이었다. 전자...
- 시대 :
- 조선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Hanging 교수형, 絞首刑Hanging is the suspension of a person by a noose or ligature around the neck.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 Hanging as method of execution is unknown, as method of suicide from 1325.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states that hanging in this sense is "specifically to put to death by suspension...출처 영어 위키백과
-
필화를 부른, 설공찬전글 곳 잘하면 뎌의 아란 소임이나 맛드면 굴실이혈 고 됴히 인니라”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것이 남녀의 유교 질서를 뒤흔들 만한 발언이기에 채수에게 교수형을 주창한 것이라는 견해다. 물론 저 당시에 “임금이라도 주전충 같은 사람이면 다 지옥에 떨어진다”나 “비록 여인의 몸이라도 약간이라도 글을 하면 저세상...
-
고소설사 4대 사건, 제2차 설공찬전 사건채수의 죄를 교수형으로 단죄하소서 정치판은 지금이나 예나 드잡이판이었다. 저들은 중력의 법칙이라도 되는 양, 부도덕적이고 부조리하며, 거짓말과 위선을 일삼고, 패거리를 지어 다니며 모사 꾸미는 것을 당연시한다. 나는 감명 깊게(?) 읽은 책을 말하라면, 부러 〈인간시장〉을 곧잘 든다. 가금씩은 정말 ‘부도덕...
-
-
뉘른베르크 재판이란 무엇인가?1946) 그리고 군부 장관 슈페어(Albert Speer, 1905~1981)가 포함되어 있었다. 괴링과 리벤트로프과 다른 세 명은 네 가지 죄목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교수형을 선고받았다. 다른 여섯 명은 비인륜적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이들 역시 교수형을 선고받았다[당시에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마르틴 보르만(Martin...
-
아이히만 오토 아돌프 아이히만, (Karl) Adolf Eichmann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의 유대인 집단학살 정책 가담자로 이스라엘에서 교수형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때 가족과 함께 독일에서 오스트리아 린츠로 이주했다. 1932년 4월 린츠에서 비밀 나치당에 입당했고 11월 하인리히 히믈러가 조직한 나치 친위대(SS) 정예부대에 들어갔다. 1933년 린츠를 떠나 바이에른 레히펠트의...
- 출생 :
- 1906. 3. 19, 독일 졸링겐
- 사망 :
- 1962. 5. 31, 이스라엘 텔아비브
- 국적 :
- 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