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양제철소 光陽製鐵所
    광양제철소는 1985~1992년에 전라남도 광양시에 건설된 일관 제철소이다. 중화학 공업화 정책의 일환으로 모색된 제2 종합 제철 사업은 사업 주체를 포항제철, 입지를 광양으로 삼았다. 광양제철소 건설 사업은 4 차례에 걸쳐 전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연간 1,140만 톤의 생산 능력이 확보되었다. 광양제철소 건설 사업...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광양 제철소 光陽製鐵所
    광양에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제철소.|광양제철소는 1970년대 국가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철강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포항에 이어 광양에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제철소이다. 광양제철소가 들어선 광양만은 우리나라 최남단 중앙에 위치한 해양 경영의 요충지로 하동, 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산업
  • 포스코 (관련어 광양제철소) POSCO, ポスコ
    회사 정보 주식회사 포스코(POSCO, Pohang Iron and Steel Co., Ltd)는 대한민국의 철강 회사이다. 본사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6261 (괴동동)에 위치에 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따른 일본정부로부터 우리정부에 대한 경제원조자금(ODA) 등을 통한 자본을 바탕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주선으로 1968년 설립...
    도서 위키백과
  • 광양 光陽市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동부에 있는 시. 1995년 동광양시와 광양군이 통합되어 도농통합시 광양시가 되었다. 광양제철소의 입지가 결정된 1981년 전까지는 광양만을 중심으로 김·조개류의 양식업이 활발했으나,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서 산업구조가 2·3차산업 중심으로 전환되어 우리나라 철강공업의...
    위치 :
    전라남도 남동부
    인구 :
    152,853 (2024)
    면적 :
    462.26㎢
    행정구역 :
    1개읍 6개면 5개동
    사이트 :
    http://www.gwangyang.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한국
  • 광양국가산업단지 光陽國家産業團地
    내용 남해고속도로와 근접하고 광주·마산에서 약 100㎞, 광양읍에서 20㎞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순천과는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다. 광양제철소에서 약 1.2㎞거리에 입지해 있으며 연관 공업의 집단화로 철강 제품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조성한 철강 연관 공업 전문 임해산업단지이다. 광양제철소와 바다를 경계로...
    성격 :
    산업단지
    유형 :
    지명
    면적 :
    총면적 46만 9천 평
    소재지 :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광양국가산업단지 光陽國家産業團地, Gwangyang Industrial Co..
    개설 전라남도 광양시 태안동, 금호동과 경상남도 하동군 해면 일대에 조성된 국가산업단지. 조성 배경 1981년 포항제철(현 포스코)의 제2제철소로서 건립될 광양제철소의 입지가 광양만 일대로 결정됨에 따라, 이에 따르는 제철산업 및 연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입지결정 과정에서 아산만 지역과 상당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광양 光陽市
    진다. 광공업으로는 광양읍 사곡리와 초남리에 광양광산이 있어 금 · 은 · 동 등을 생산했으나 지금은 휴광 중이다. 광양만에는 588만 평의 인공 섬에 광양제철소와, 그와 연관된 공장들이 들어서 대규모의 철강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2008년 현재 광양제철수의 조강량은 3360만 톤이다. 2004년 광양항 2...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광양시의 자연환경
    이용된다. 광양읍·진상면·옥곡면 등의 하천 하류지역에는 비옥한 평야가 발달해 있으며, 백운저수지·수어지는 주요 관개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광양제철소 건설과 함께 태인도·금호도 등이 매립되었고 간석지가 간척되어 광양만 내에 있는 섬들은 점차 육지화되고 있다. 기후는 온화한 해양성기후를 나타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광양시의 인구
    이르렀다. 1995년 동광양시와 광양군의 통합으로 인구가 12만 7,735명이 되었으며 이후로도 공업도시로서 인구가 계속 증가했다. 이러한 인구증가는 광양제철소가 시내·외의 인구를 유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인구는 2010년 14만 5,512명, 2015년 15만 3,587명으로 증가했다. 2024년 기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광양제철선 光陽製鐵線
    형성 및 변천 길이는 19.㎞이다. 1985년 7월에 착공하여 1987년 9월에 개통하였으며, 약 569억원의 공사비가 소요되었다. 광양제철소의 건설계획에 따라 경전선의 진상과 제철소 사이의 11㎞와 옥곡 삼각선 2㎞의 제철선을 신설할 계획이었으나, 현지 실정을 세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지금 노선으로 건설계획을 변경...
    시대 :
    현대
    성격 :
    철도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19.km.
    소재지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태금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순천완주고속도로 전주광양고속도로, 順天完州高速道路
    국도 제27호선 순천완주고속국도로 지정하고, 2004년 12월에 동순천~임실나들목 구간을 착공하였다. 순천완주고속도로는 제2의 컨테이너 부두인 광양항 및 광양제철소 산업 물자의 원활한 수송과 지리산, 서남해안 등 관광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전주, 남원, 순천을 연결하는 관광 산업 도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광양 東光陽
    내용 본래는 광양군이었으나, 1966년 광양군 골약면에 태인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1년 광양제철소의 입지가 확정됨에 따라 이의 건설에 따른 지원을 위하여 1983년 태인출장소가 태금면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광양군 골약면과 태금면 등 2개 면을 분리 독립시켜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를 설치하였으며, 1987...
    성격 :
    고지명
    유형 :
    지명
    소재지 :
    전라남도 광양시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7건

광양제철소
광양제철소
광양제철소
광양제철소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경
여수 묘도 도독마을 부근에서 본 이순신대교와 광양제철소
1970년대 포항제철 신화를 창조한 박태준 회장이 광양제철소의 고로에 불을 지피는 모습(1987년 촬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