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화안정계정통화안정계정은 금융시장 유동성 조절을 위한 일종의 기한부 예금(term deposit)이다. 동 계정은 국외부문 등으로부터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강제예치방식으로 활용되다가 1990년대 이후 금융시장의 발달, 환매조건부증권매매(RP) 등 시장친화적인 공개시장운영수단의 정착 등으로 그 활용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
양적완화정책 QE, Quantitative Easing은행이 양적완화정책으로 크게 늘어난 보유자산 규모를 경기회복세 등을 배경으로 점진적으로 축소할 때 그 속도가 경기회복세에 비하여 더딜 경우에는 과잉 유동성이 자칫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양적완화정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질적완화정책(Qualitative Easing)이 있다. 이것은...
-
트리핀 딜레마 Triffin's dilemma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유동성을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의 적자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유동성이 과잉돼 달러화의 가치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반면 미국이 대외거래에서 장기간 흑자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달러화의 가치는 안정시킬 수 있으나 국제무역과...
-
M1・M2・Lf・L쓰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확장적 재정 및 통화정책을 실시한 이후 단기유동성을 나타내는 M1이 2009년 1월 이후 10% 이상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과잉유동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보다 폭넓은 시중유동성 수준을 나타내는 M2와 Lf, L의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 실제로는 돈의 회전이 원활치 않다는 이유로...
-
-
화폐개혁 貨幣改革, Currency Reform동결되면서 경제부흥을 위한 자금의 동원에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1962년 실시된 화폐개혁은 당시 등장한 군사정부 하에서 재정적자 확대로 누적된 과잉유동성을 해소하고 부정축재자가 은닉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장자금을 끌어내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정부의 예상과 달리 퇴장자금이 풍부하지 않았으며...
- 시대 :
- 현대
- 성격 :
- 제도개혁, 경제제도개혁, 화폐제도개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05년(제1차), 1950년 8월 28일(제2차), 1953년 2월 17일(제3차), 1962년 6월 10일(제4차)
- 시행처 :
- 한국은행, 대한민국 정부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1990년대 한국문학사보유 자산의 가치가 뚝 떨어지고 수입이 크게 줄면서 고통스런 내핍 생활의 강제에 놓인다. 이런 사태는 국제 자본이 동아시아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러 나서고, 재벌 기업들의 과잉 · 중복 투자와 경기 후퇴가 수익성 악화 및 금융 부실을 부채질하며 우리 경제의 대외 신인도가 곤두박질친 데서 비롯된다. 2000...
-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비우량주택담보대출, subprime mortgage loan경우는 알트-A 모기지에 해당된다. IT버블 붕괴 후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2001년 기준금리를 1%까지 낮췄다. 이로 인해 주택가격의 상승과 유동성 과잉으로 금융회사들은 대출 경쟁을 통해 주택담보대출 비율을 90~95%까지 높였다. 그러나 경기 과열로 인해 급격한 인플레의 압박을 받게 되자 FRB는 2004...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