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연말정산으로 근로소득세를 돌려받을 수 있다 근로소득세의 진실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납부할 세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1단계 :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액(비과세소득 제외) - 근로소득공제 2단계 : 근로소득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 - 인적공제 - 물적공제 3단계 : 산출세액 ← 근로소득과세표준 × 세율(6~42%) 4단계 : 근로소득결정세액 ← 산출세액 - 세액공제·세액감면...
-
-
개인이 납부하는 소득세란 무엇인가 근로소득세의 진실종합합산과세가 원칙이다 소득세는 1년 동안 개인에게 발생한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을 모두 합산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하고 각 과세표준에 정해진 누진세율(6%부터 42%까지로 구성)을 곱하여 과세한다. 이를 종합합산과세라고 한다. 그러나 어떤 소득은 종합과세금액에 포함하지...
-
양도소득세 스스로 계산해보자 양도소득세의 진실계산구조는 다음과 같다. 1단계 : 양도차익 ← 양도가액 - 필요경비(취득가액 등) 2단계 : 양도소득금액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3단계 : 양도소득과세표준 ← 양도소득금액 - 양도소득기본공제 4단계 : 양도소득산출세액 ← 양도소득과세표준 × 양도소득세율 5단계 : 양도소득결정세액 ← 양도소득산출세액...
-
상속세 相續稅등은 비과세되고 전사 등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상속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3) 과세표준 상속세과세 가액에서 상속공제를 차감한 것을 상속세과세표준으로 한다. 상속공제는 ① 기초 공제액을 2억 원으로 하고 가업상속의 경우 1억 원, 영농상속의 경우 2억 원을 추가하여 공제한다. ② 배우자 공제액으로...
- 시대 :
- 현대
- 성격 :
- 조세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34년 6월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소득세 所得稅포함하지만, 법인기업의 발달에 따라 법인소득세가 법인세법에 따라 독립됨으로써 좁은 의미의 개인소득세만을 지칭하게 되었다. 소득세는 개인의 소득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인세(人稅)이지만, 그 역사가 오래된 것은 아니다. 근대적인 소득세제도가 도입된 것은 1842년에 영국세제에서 이루어졌지만, 누진과세...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국세, 조세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42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
연말정산을 스스로 해보자 근로소득세의 진실계산하면 1,047만 원(750만 원+1,500만 원 초과금액의 15%)이 된다.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하여 근로소득금액을 산출한다. 2단계 근로소득(종합소득)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 - 인적공제 - 물적공제 11,230,000 = 24,330,000 - 7,500,000 - (2,000,000 + 3,600,000) 근로소득금액에서 인적공제 중 기본공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