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미군의 과달카날전투 승리1월 5일, 미군이 태평양 솔로몬 제도의 과달카날섬에서 일본군에 승리해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다. 과달카날섬의 비행장을 차지하기 위해 벌어진 이 전투에서 일본군 2만 4,000여 명과 미군 수천 명이 희생됐다. 참조
- 시대 :
- 1943년 1월 5일
- 국가/대륙 :
- 오세아니아
-
태평양 전선에서의 연합국 승리대치해 있었다. 진지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한 일본군은 2월초에 대담한 구축함 돌파 작전으로 1만 2,000명의 병력을 넘는 사상자를 냈다. 과달카날 전투의 지상 전투에서 일본군은 2만 4,000명 이상의 인명손실을 냈다. 연합군은 약 1,600명의 사망자와 4,250명의 부상자를 냈다(이 숫자에는 질병에 희생된 더 많은 수의...
-
괌 전투 (1944년) Battle of Guam (1944), グアムの戦い..큰 섬으로 52km의 길이에, 16km의 너비를 가지고 있다. 1941년 12월 10일에 진주만 공격에 이어 일본군의 공격으로 빼앗기고 말았다. 미군은 1943년 2월 과달카날 전투에서 일본군을 물리치고 중부 태평양의 일본 세력에 압박을 가하고 있었다. 일본은 1943년 9월 30일 ‘최고 전쟁지도 회의’에서 재가된 〈향후 채용될...도서 위키백과
-
밴더그리프트 알렉산더 아처 밴데그리프트, Alexander A(rcher) Vandegr..제2차 세계대전 때 솔로몬 제도의 과달카날 섬에서 일본군에 대한 미국 최초의 대규모 공격을 이끌었다(→ 과달카날 전투). 1909년 해병대 소위로 임관한 뒤 1942년 소장으로 승진했다. 니카라과·아이티·중국에서 복무하면서 태평양지역에서 필요한 정글전쟁 기술을 익혔다. 1942년 8월 미국이 솔로몬 제도를 공격할...
- 출생 :
- 1887년 3월 13일, 미국 버지니아 샬러츠빌
- 사망 :
- 1973년 5월 8일, 메릴랜드 베세즈다
- 국적 :
- 미국
-
암호 전문 통신병으로 활약한 이들은 누구인가? 태평양에서의 세계대전부대 배치 등 주요 정보를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들의 메시지는 전화나 라디오를 통해 전달되었음에도,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일본군에서 암호를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약 400명의 나바호 인디언들이 제2차 세계대전 때 암호 통신병으로 활동했으며, 이오지마와 과달카날 전투 등의 승리에도 크게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