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작옥좌 孔雀玉座, Peacock Throne
    페르시아인들이 1739년 인도에서 빼앗아온 유명한 황금옥좌.|그 뒤에 잃어버렸지만 그 복제품이 남아 있으며 페르시아와 이란 왕조의 상징이 되었다. 이 옥좌는 원래 17세기초에 무굴 제국의 황제인 샤 자한을 위해 만든 것으로, 지금까지 만들어진 옥좌 가운데에 가장 호화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으로 된 계단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옥좌 玉座, throne
    크노소스 궁전의 벽면에 설치된 것(BC 1800경)이며, 가장 호화로운 옥좌로는 인도 델리의 지배자들의 것으로 보석으로 치장하여 은계단의 단에 세워놓은 공작옥좌(Peacock throne)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의 옥좌 생산은 그리스도교의 출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옥좌는 대관식 행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샤 자한기 건축 Shah Jahan period architecture
    주요 건축사업으로 1638년 착공된 델리의 궁전 성채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주목할 만한 건물로는 적색 사암 기둥을 쓴 디반에암(대중 알현실)과 유명한 '공작 옥좌'가 소장되어 있다고 알려진 디반에카시(개인 알현실) 등이 있다. 성채 밖에 있으면서 성채와 연결되도록 계획된 것으로는 거대한 집회용 모스크인 자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나디르 샤 Nādr Qolī Beg, Ṭahmāsp Qolī Khan, Nadir Shah
    1739년 2월 북인도 무굴 제국의 몇 도시를 점령한 뒤, 인도의 카르날에서 무굴의 주력부대에 부딪쳤으나 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델리에 입성하여 전설적인 공작옥좌와 고어누 다이아몬드 등 많은 전리품을 이란으로 가지고 왔다. 그뒤 부하라와 히바 도시들 주변의 우즈베크인들을 공격했다. 그의 제국은 이때 최대로...
    출생 :
    이란 사파위조(朝) 코반, 1688. 10. 22
    사망 :
    1747. 6, 파타바드
    국적 :
    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베르니니의 중기생애
    세상에 골고루 내려보내는 은총의 물결을 가시적으로 상징하는 것이다. 이 옥좌는 대성전 바깥의 타원형 광장과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으면서도 그 양식이...작업중에도 계속해서 몇 점의 인물 흉상을 만들었다. 그중 최초의 것은 모데나 공작인 에스테가(家)의 프란체스코 1세의 흉상(1650~51, 모데나 에스텐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헤라 추락하는 여왕
    보이는 공작이 여신의 신조(神鳥)다. 여신은 매년 봄 나우플리아의 카나토스 샘에서 목욕을 하여 처녀성을 회복한다. 혼전 관계로 고민하는 현대 여성들이 알면 부러워할 일이지만 처녀성 회복은 대지모신의 원초적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이다. 물은 생명의 원천이며 치유의 상징이다. 물은 모든 생명의 모태로서 몸과...
  • 보두앵 1세 (예루살렘) Baldwin I of Jerusalem, ボードゥアン1世 (エ..
    되기 위한 교육을 받다가 도중 환속하여 큰형 고드프루아 드 부용 로드리겐 공작의 아래에서 베르됭 백작이 되었다. 제1차 십자군 원정시 형 고드프루아, 위그...십자군에 대한 기록을 남긴 황녀 안나 콤네나의 수기에 의하면 "휘하의 병사가 황제의 옥좌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자, 이를 꾸짖었다."라고 말해질 정도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