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곡물바구미 그라나리아바구미, grain weevil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곤충. 곡물에 서식하고, 크기는 0.3~0.5cm 정도이다. 식성은 초식으로, 주로 밀, 옥수수를 먹는다. 주둥이가 먹이를 쉽게 먹을 수 있게 독특하고 길게 발달된 것이 특징이다. 곡식을 축내는 해충이다. 정의 곤충강 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영어권에서는 ‘granary weevi...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 서식지 :
- 곡물
- 먹이 :
- 밀, 옥수수
- 크기 :
- 약 0.3cm ~ 0.5cm
- 학명 :
- Sitophilus granarius
- 식성 :
- 초식
-
바구미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것이 ‘바구미’가 되었다고 추측된다. 크기는 약 0.3~0.4cm이다. 형태 크기는 약 0.3~0.4cm이다. 머리는 평활하고 주둥이(口吻)에는 점각렬이 있으며, 적갈색이다. 촉각은 주둥이 기부에서 시작된다. 앞가슴판의 앞쪽은 좁고, 뒷가두리는 딱지날개와 폭이 같으며 점각이 밀생한 상태이다. 복판(小楯板)은 작고 삼각형...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 서식지 :
- 곡물이 저장된 곳
- 먹이 :
- 수수, 밀, 옥수수, 벼, 보리
- 크기 :
- 약 0.3cm ~ 0.4cm
- 학명 :
- Sitophilus oryzae
- 식성 :
- 초식
-
바구니 바고니남자들은 새끼줄을 달아가지고 다닌다. 한강 북쪽에서는 대가 나지 않아 싸리껍질을 벗겨 짜 만든다.” 곳에 따라 보금치·바구리·바구미·바그미·보고니·보금지라고도 부른다. 곡물 따위의 농산물을 나르는 데 많이 쓰며 말리거나 갈무리용으로도 사용된다. 테두리에 대나무를 서너 겹 둘러서 손잡이로 쓰거나 바닥...
- 성격 :
- 생활용품, 공예품, 식기
- 유형 :
- 물품
- 재질 :
- 대나무, 싸리나무, 버드나무
- 용도 :
- 운반용, 갈무리용, 농산물건조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어리쌀바구미특징 주둥이, 머리, 다리, 앞가슴등판은 흑색이고 딱지날개는 적갈색인데,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4줄의 적황색 긴 무늬가 방사상으로 퍼져 있다. 생태 성충은 5월에 쌀자루에서 짝짓기를 하는데, 벼, 보리, 옥수수 등의 곡물 해충으로 유명하다.
- 분류 :
- 딱정벌레목(Coleoptera) > 왕바구미과(Rhynchophoridae)
- 크기 :
- 성충의 몸 길이 2.9~3.5mm
- 학명 :
- Sitophilus zeamais Motschulsky
- 식성 :
- 잡식
- 분포지역 :
- 한반도, 일본, 중국 등
-
쌀도적가공품을 가해하고, 유충은 엽연초에 먹어 들어가며 선박이나 창고의 재목 속에 먹어 들어가기도 한다. 저장 곡물에 쌀바구미가 발생하면 쌀도적도 발생하는데, 유충은 곡물을 식해하나 성충은 오히려 쌀바구미나 그 밖의 곤충을 잡아먹는 성질이 있다. 그러므로 곡물에 쌀도적이 발생했을 때에는 반드시 다른 곡충도...
- 분류 :
- 딱정벌레목 > 쌀도적과 > 화장뭉툭맵시벌속
- 서식지 :
- 쌀, 곡분, 저장곡물, 잎담배
- 크기 :
- 몸길이 약 10㎜, 몸나비 약 3㎜
- 학명 :
- Tenebroides mauritanicus (Linnaeus, 1758)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을 비롯한 전세계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