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집저음 그라운드베이스, 固執低音
    최하성부에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나는 선율. (영). ground bass.|악곡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13세기 프랑스 모테트와 15세기 정선율(cantus firmus) 무곡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정선율 무곡의 경우 뼈대 선율 하나가 정선율의 고정주제 역할을 수행했다. 16세기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선율 패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오스티나토 (관련어 고집저음) Ostinato, オスティナート
    오스티나토는 저음이 같은 선율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대신 위 성부의 화성과 선율이 바뀌면서 음악이 진행하게 된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서 많이 쓰였으며, 잘 알려진 예로 파헬벨의 카논이 있다. 파사칼리아도 비슷한 형식이지만, 저음에 있던 선율이 위 성부로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훅 (음악...
    도서 위키백과
  • 비올 비올라 다 감바, viol
    17~18세기에 유행한 음형 장식의 일종으로, 선율을 빠른 음형이나 악구로 분해하는 기법이며, 특히 영국에서 하프 연주자가 연주하는 고집저음 위에서 비올이나 플루트 연주자가 고집저음을 주제로 즉흥적으로 꾀한 장식적인 음형변주를 뜻함)의 레퍼토리를 발전시켰다(→ 디비전 비올). 17세기말경 디비전의 인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헨리 퍼셀 Henry Purcell
    노래들 중 상당수가 중요한 곡인데 이탈리아 독창 칸타타풍에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들을 결합했다. 당시 퍼셀이 세속음악 작품에 즐겨 사용하던 기법은 고집저음인데 이 기법을 사용하면 활기 찬 작품의 경우에는 곡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한편 '디도의 작별 장면'처럼 애가에서는 슬픔의 표현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출생 :
    1659경, 런던
    사망 :
    1695. 11. 21,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부기우기 boogie-woogie
    재즈 연주에서 독주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삽입하는 당김음 처리된 반복 악구)들을 반복 연주하는 동안, 왼손은 이에 대한 배경으로 8개음에 의한 반복 패턴(고집저음)을 몰아서 친다. 20세기초에 처음 나타나 미국의 남서부지방에서 발전했으며 초기의 '빠른 서부 양식'(fast Western style), '구르는 서부 양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오스티나토 ostinato
    1925년에 〈콘체르토 Concerto〉 작품 38을 초연했다. 16세기 춤곡의 베이스 성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오스티나토로 만든 베이스 성부를 고집저음(basso ostinato)이라 불렀다. 모리스 라벨의 피아노곡 〈밤의 가스파르 Gaspard de la nuit〉(1908) 중 3악장 〈스카르보 Scarbo〉는 단일 음높이에 의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음렬주의 音列主義, serialism
    계속 반복 사용했다는 점에서 음렬주의 음악이라고 볼 수 있다(동질서 리듬). 20세기 이전의 음렬주의에 속하는 또다른 예는 화성이나 선율이 반복되는 고집저음인데 주로 성악의 하성부나 기악부에서 이루어졌다. 수많은 작곡가들이 그라운드 베이스를 이용한 작품을 작곡해왔다. 음렬주의는 종종 12음음악과 같은 뜻...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베르가마스카 bergamasca
    걸음 도는 동작을 반복한다.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 Midsummer Night's Dream〉에 시골사람들이 베르가마스카를 추는 장면이 나온다. 베르가마스카는 고집저음을 바탕으로 한 기악곡으로서 어느 정도 인기를 얻었지만 궁정무용이 되지는 못했다. 클로드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Suite bergamasgue...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파사칼리아 (베베른) Passacaglia (Webern), パッサカリア (ヴェーベルン)
    베베른의 후기 작품들에 비해 조성적인 색채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파사칼리아는 17세기 초에 에스파냐에서 발생한 춤곡으로, 곡 전반을 통해 짧은 주제를 고집저음으로 반복하는 변주곡의 형식이다. 이 작품 역시 그러한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20개의 변주곡으로 되어있다. 베베른의 다른 작품들이 연주 시간이 짧은...
    도서 위키백과
  • 폴로네즈 Op. 53 (쇼팽) 폴로네즈 Op. 53 (쇼팽), Polonaise in A..
    다음 주선율은 한 번 더 반복된다. 두 번째 주 도입부(또는 트리오 세션)는 마장조와 내림마장조(올림라장조로 쓰여져 있음)의 옥타브로 내려가는 매우 여린 고집저음으로 바꾸기 전에 6개의 큰 아르페지오 화음과 함께 연다. 행진곡같은 선율이 내려가는 옥타브를 따라 나오고 이를 두 번 더 하고 난 뒤 우선 긴 서정적...
    도서 위키백과
  • 탄크레디 Tancredi, タンクレーディ (ロッシーニ)
    너무나 요구하는 것이 많기에, 캐스팅의 큰 어려움을 가져왔다. 이는 강렬한 저음의 성역과 함께, 뛰어난 성악적 민첩함과 끈기력을 지닌 진정한 콘트랄토나...전체적인 음조에 더 일치한다고 인용하며, 비극적인 페라라 판본의 결말을 고집하였다. 사실 이 선율이 아름다운 오페라의 대부분의 음반들은 페라라 결말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