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4제 (관련어 고집멸도) 괴로움에서 열반으로 가는 고 · 집 · 멸 · 도
    붓다는 깨달음을 이룬 후, 사람들에게 설법하기를 주저했다. 왜냐하면 자신이 체득한 진리는 너무나 미묘해서 사람들에게 설한다고 해도 그들이 이해하지 못하면 자신만 피곤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못에는 푸른 연꽃, 붉은 연꽃, 흰 연꽃이 있고, 그 중 어떤 것은 물속에 잠겨 있고, 어떤 것은 물에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사성제 (관련어 고집멸도) Four Noble Truths, 四諦
    불교 사성제" 또는 "4가지 고귀한 진리(Four Noble Truths)"라는 뜻인데, 고제(苦諦).cw집제(集諦).cw멸제(滅諦).cw도제(道諦)의 4가지 진리 또는 깨우침을 의미한다. 흔히 이 네 가지를 간단히 고집멸도(苦集滅道)라고 부른다. 고집멸도(苦集滅道)는 집과 고라는 연기하는 항목과 도와 멸이라는 연기(緣起)하는 항목을 ...
    도서 위키백과
  • 사제 사성제(四聖諦), 四諦
    과 점차적으로 직접 관찰하는 법〔漸現觀〕의 두 가지가 있는데, 설일체유부에서는 점차적으로 직접 관찰하는 법〔漸現觀〕을 주장한다. 한편 테라와다는 고집멸도 사제를 한꺼번에 직접 관찰하는 법을 주장한다(『청정도론』 3권). 대승불교의 『마하반야바라밀경』에서는 사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체가 사제가, 四諦歌
    八月十五日於京覺皇寺抄).”라고 하였다. 1931년 서울 각황사(현 조계사)에서연방두타 최취허(崔就墟, 1865∼?)가 필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내용 제목은 고집멸도(苦集滅道)의 사제[四聖諦]를 내세웠는데, 전체 내용은 세상사가 모두 허망한 것이므로 세상일에 탐착(貪着)하지 말고 평소에 시간 날 때마다 염불하여 극락...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931년
    성격 :
    불교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晋本卷四
    광명을 주는 부처님이고, 여래명호는 부처님의 이름이다. 세상의 곳곳마다 부처가 있고, 사람들이 수행을 잘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제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불교의 기본 골격인 사성제를 알고 실천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비록 권수에 탈락이 있지만 종이와 판각...
    시대 :
    고려
    저작자 :
    불타발타라(번역)
    문화재 지정 :
    보물 제685호
    창작/발표시기 :
    1096년∼1105년
    성격 :
    불교경전, 사찰본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축
    간행/발행 :
    해인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따와나선원
    제따와나선원은 2018년에 개원한 춘천의 사찰이다. 부처의 최초 설법인 네 가지 진리, 사성제(고집멸도·苦集滅道)와 수행의 여덟 가지 길, 팔정도를 개념으로 수행도량을 마련하였으며, 부처님 가르침의 원음을 되살리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춘천 제따와나선원 도량 전체를 인도 제따와나 유적지와 같은 벽돌 건물로...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면 윗박암길 53
  • 팔정도 Noble Eightfold Path, 八正道
    여덟 구성요소 또는 여덟 개의 길은 다음과 같다. 정견.cw정사: 바르게 말하기 정업: 바르게 생활하기 정정진: 바르게 깨어 있기 정정하기 8정도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4성제 중 마지막 도제(道諦)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설명된 것이다. 고집멸도의 4성제는 집과 고라는 연기하는 항목과 도와 멸이라는 연기(緣起)하는...
    도서 위키백과
  • 이종우 (배우)
    김군 역 《무사도》 (2001년) - 무사 역 《천사몽》 (2001년) - 수비대장 역 《7인의 새벽》 (2001년) 《그녀 이야기 - 꽃잎 한점 어지러이 허공을 날고》 (2000년) 《앨리스와 사랑에 빠지다》 (1999년) 《하우등》 (1999년) - 한수 역 《고집멸도》 (1997년) 《나는 할렐루야 아줌마였다》 (1982년) - 어린성수 역
    도서 위키백과
  • 삼법인 Dharmamudrā, 三法印
    따라서 올바른 지혜(반야 이러한 자기모순에 빠진 자기 자신을 반성하며 욕망을 버리고 집착에서 벗어날 때야말로 아무것에도 어지럽혀지지 않은 이상적인 열반적정의 경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삼법인 또는 사법인이라는 교의 속에서 나타나는 불교의 기본적 입장이다. 고집멸도 연기 공 반야 보리 불교 둘러보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