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시아(시베리아)에서 사용되는 언어군. Paleo-Asiatic, hyperborean이라고도 함.|발생언어학적으로 서로 관련이 없는 예니세이어·루오라웨틀란어·유카기르어·길랴크어 등 4가지 어군에 속한다. 예니세이어군에는 케트어·코트어·아린어·아산어 등 적어도 4가지 언어가 있으나 그 중 케트어만이 지금까지 쓰인...
고시베리아제어(Paleosiberian languages)은 시베리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고립어 또는 미시적 규모의 어족들을 다룰 때 사용하는 편의상의 제어(諸語) 분류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간의 계통적 관계는 상정되지 않는다. 소위 알타이 제어로 불리는 튀르크어나 퉁구스어 등 대형 어족이 유입되기 이전부터 동북...
정도만이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니브흐어는 어떤 언어와도 친족관계가 입증되지 않은 고립된 언어이며, 지리적으로는 고시베리아제어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니브흐어의 어휘 중에는 고시베리아 언어들, 퉁구스어족 언어들, 아이누어, 한국어과 유사성을 띈다고 지적된 것이 많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다른 실제 언어...
이러한 주장에 의하면 부여계 언어 역시 한국어족에 속한다.인용 한편 알타이 제어가 아시아 지역에 확산되기 이전에 이미 성립하여 있던 여러 언어, 즉 고시베리아제어의 일종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김방한의 원시한반도어 가설에서는 한국어가 퉁구스어 등 알타이제어와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하면서도 고대에 한반도...
어를 사용하며 툰드라 유카기르인의 언어는 북부 유카기르어, 콜리마 유카기르인의 언어는 남부 유카기르어로 불린다. Гурвич И. С. 북동시베리아민족들의 역사(Этническая история северо-востока Сибири). М., 1966년. 고시베리아제어 추반인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와 콜리마 유카기르어의 2가지 방언만이 남아있으며 합쳐서 많아야 수백 명 이하의 화자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반적으로 계통상 고립된 고시베리아제어의 일종으로 여겨지나, 일부 학자들은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나 우랄어족과의 관계를 추측하기도 한다. 북부 유카기르어 (툰드라 유카기르어) 남부 유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