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드프루아 Godefroi de Saint-Victor
    프랑스의 수도사·철학자·신학자·시인. (영). Godfrey of Saint-Victor.|지식의 분야를 분류하고 각 학문 특유의 방법을 집대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고유한 존엄성을 인정하려고 했던 중세 초기 그리스도교 인문주의를 요약한 책들을 썼다. 파리대학 인문학부 학생시절에 일찍이 변증법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잠시 ...
    출생 :
    1125경
    사망 :
    1194,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고드프루아 Godefroy de Fontaines
    프랑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철학자, 신학자. (영). Godfrey of Fontaines.|당시 서구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교의 지성을 지배한 신앙과 이성을 둘러싼 논쟁에서 활약했다. 파리대학 교양학부에서 아우구스티누스주의-신플라톤주의자 앙리 드 강(Henri de Gand), 유럽의 대표적 아베로에스주의자 시제 드 브라방(...
    출생 :
    1250 이전, 하(下)로렌 퐁텐레조제몽
    사망 :
    1305 이후,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고드프루아 Godefroi de Bouillon
    하로렌(Lower Lorraine)의 공작(고드프루아 4세로서 1089~1100 재위)이자 제1차 십자군 지도자. (영). Godfrey of Bouillon.|1099년 7월 이슬람교도에게서 예루살렘을 되찾은 뒤, 팔레스타인에 세워진 예루살렘 라틴 왕국 최초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불로뉴 백작 외스타슈 2세이고 어머니는 하로렌 공작 ...
    출생 :
    1060경
    사망 :
    1100. 7. 18, 예루살렘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고드프루아 고드프루아 드 위, Godefroi de Claire
    1130~50년경 활동한, 벨기에 로마네스크 양식의 주요한 금세공인이며 모산파(Mosan school)의 에나멜 세공인. Godefroid de Huy라고도 함.|생애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스타블로 대수도원 원장 밑에 있을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한 것 같다. 유명한 작품으로 알렉산데르 교황의 청동물단지와 성유물함(1145...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벨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고드프루아 드 부용 (관련어 고드프루아) Godfrey of Bouillon, ゴド..
    왕족 정보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십자군 전쟁 중 1차 십자군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예루살렘의 초대 성묘 수호자였으며, 니더로타링겐 공작이었다. 시온수도회의 설립자라고 하며 팔레스타인에 세워진 예루살렘 왕국의 최초의 통치자가 되었다. 다고베르트 2세의 아들 시지스베르 4세의 후손 백부 하 로트리겐 공(公) ...
    도서 위키백과
  • 고데프리두스 (동프랑크)
    출처 필요 로트링겐의 고드프루아(Godfrey of Lotharingia) 또는 케른텐의 고드프루아(Godfrey of Carinthia)는 로트링겐의 왕자로 츠벤티볼트의 아들 또는 서자였다. 황제 아르눌프의 손자였다. 팔라틴 백작이자 케른텐 공작이며, 명목상 로트링겐의 공작이었다. 아버지는 츠벤티볼트이고 어머니는 미상이다. 일설에는...
    도서 위키백과
  • Godfrey of Bouillon 고드프루아 드 부용, ゴドフロワ・ド・ブイヨン
    Godfrey of Bouillon (18 September 1060 – 18 July 1100) was a medieval Frankish knight who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First Crusade from 1096 until his death. He was the Lord of Bouillon, from which he took his byname, from 1076 and the Duke of Lower Lorraine from 1087. After the successful...
  • 마틸데 Matilde La Gran Contessa, Matilde di Canossa
    세운 아토니 가문의 넓은 영지를 홀로 상속받게 되었다. 2년 뒤 마틸데의 어머니 베아트리체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3세와 적대관계에 있던 상로렌 공작 고드프루아와 결혼했다. 1055년 어머니와 함께 황제에게 인질로 잡혀 독일로 갔으나 이듬해 황제가 고드프루아와 화해해 풀려났고 겨우 몇 달 뒤 황제는 죽었다...
    출생 :
    1046, 토스카나 루카
    사망 :
    1115. 7. 24, 로마냐 본데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보두앵 1세 Baudouin I
    팔레스타인을 지배하는 토대가 되었다. 볼로뉴 백작 외스타슈 2세와 아르덴의 이다의 아들이며 제1차 십자군(1096~99)에 참가한 부용의 고드프루아의 동생이다(→ 고드프루아). 아나톨리아의 셀주크 투르크족과 싸우는 한편 군사 원조를 대가로 에데사(터키의 우르파)의 그리스도교도 군주 토로스에게서 에데사 공국...
    출생 :
    1058(?)
    사망 :
    1118. 4. 2, 이집트 알아리시
    국적 :
    예루살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레몽 4세 Raimond IV
    進軍)을 계획하고 예루살렘 점령에 참가했다(1099. 7. 15). 십자군이 세운 예루살렘 왕국의 왕위를 거절했으며 대신 하(下)로렌 공작인 부용의 고드프루아가 왕이 되었다. 고드프루아와 다투기도 했지만 예루살렘이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공격을 받자 힘을 합쳐 싸워 이집트군을 물리쳤으며 1100년부터는 보에몽이...
    출생 :
    1041/42, 툴루즈 백작령 툴루즈
    사망 :
    1105. 2. 28, 트리폴리 근처
    국적 :
    툴루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브리엔니우스 Nicephorus Bryennius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누스를 카이사르라고 불러 총애를 받았다. 그는 제1차 십자군의 지휘관인 부용의 고드프루아에 맞서 콘스탄티노플을 성공적으로 지켜냄으로써(1097) 알렉시우스가 고드프루아와 협상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그는 알렉시우스와 안티오크 군주 보에몽의 평화협상을 처리했으며(1108), 이코니움의...
    출생 :
    1062, 비잔틴 아드리아노플
    사망 :
    1137,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 하인리히 3세 Heinrich III
    스칸디나비아의 교회와 작센 교회는 점점 더 그에게 반기를 들었다. 또한 하인리히는 황제의 자리에 있는 동안 거의 내내 로렌 공작인 고드프루아 2세와 다투어야 했지만, 고드프루아를 징계하는 대신 용서를 거듭했다. 곳곳에서 소란이 일어났다. 1054~55년에 바이에른 공작 콘라트와 케른텐의 벨프 3세는 광범위한...
    출생 :
    1017. 10. 28
    사망 :
    1056. 10. 5, 작센 고슬라어 근처 보트펠트 성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