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대교회 슬라브어 Old Church Slavoni..
    테살로니카(테살로니키) 주변에서 쓰던 마케도니아(남 슬라브) 방언들에 주로 바탕을 둔 슬라브어. 또는 Old Bulgarian, Old Slavonic이라고도 함.|테살로니카 토박이 선교사인 성 키릴로스(콘스탄티노스)와 성 메토디오스가 9세기에 모라비아 슬라브인들에게 설교하고 슬라브어로 성서를 번역하기 위해 이 언어를 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교회 슬라브어 (관련어 고대교회 슬라브어) Old C..
    언어 정보 고대 교회 슬라브어(Old Church Slavonic, lang)는 남슬라브어의 방언에 기초한 가장 오래된 문자어로 현대 동슬라브어파 문자어의 전신에 해당하는 언어이다. 현재의 슬라브어들과 공통점이 모어인 만큼 매우 많다(문자 제외). 현재는 사멸한지 오래되어 사어로서 슬라브어권 정교회 성당에서 성경을 읽거나 ...
    도서 위키백과
  • Old Church Slavonic 고대 교회 슬라브어, 古代教会スラヴ語
    Old Church Slavonic , also known as Old Church Slavic (often abbreviated to OCS; self-name , slověnĭskŭ językŭ), was the first Slavic literary language. The 9th-century Byzantine missionaries Saints Cyril and Methodius of Slavic, Greek descent, or both, are credited with standardizing the langua...
  • 고대 교회 슬라브어 위키백과 教会スラヴ語版ウィキペディア
    고대 교회 슬라브어 위키백과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운영되는 위키백과 언어판이다. 2006년에 시작되었다. 기호는 cu이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 위키백과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교회 슬라브어 Church Slavonic, 教会スラヴ語
    키릴 문자 교회 슬라브어고대 교회 슬라브어가 점차 지역적 색채를 띠며 형성된 중세 슬라브어로, 고대 동슬라브어의 조상이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슬라브어 Slavic languages
    세기에 이르러 교회가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교회로 분리되자, 교회 슬라브어는 서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과 남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대다수 서부지역...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크로아티아인은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슬라브어군의 어휘에는 고대에 이란어와 게르만어에서 단어를 차용한 흔적이 뚜렷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러시아어 Russian Language
    매우 큰 영향을 미쳤는데 구어와 교회 슬라브어를 융합한 그의 문체는 어떤 문체가 문어에 가장 적합한가에 대한 수많은 논쟁에 마침표를 찍었다(→ 고대 교회슬라브어). 현대 러시아어에서 명사·형용사의 단수와 복수는 6개의 격(주격·생격·대격·여격·조격·처소격)으로 나타내고 동사는 완료상(완료된 행동)과 불...
  • 고대 키이우 시기의 러시아 문학 고대 키예프 시기의 러시아 문학
    없이 별도의 작품들이 씌어졌다. 북부와 남부 문학에서 사용된 언어도 근본적으로 동일한 언어, 즉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고대교회 슬라브어의 여러 요소를 흡수한 동슬라브족의 고대 문학어였다. 키이우 시기의 문학은 처음부터 다수의 번역서를 포함했다. 그 대부분은 그리스어를 번역한 것이었지만 라틴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체코 문학 체크 문학, Czech literature
    자신의 고향 살로니카의 슬라브 방언을 기초로 그밖의 언어, 특히 그리스어 및 모라비아 방언을 채용해 더욱 풍부한 문어를 만들어냈다. 이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씌어진 가장 주목할 만한 문학적 업적은 이들 형제의 〈전기〉이다. 이것은 후대의 사본들만 남아 있으나 거의 확실히 900년 이전에 씌어진 것이다. 그런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Srpskohrvatski Jezik
    변형한 것이지만, 17세기말에 러시아의 세르비아 지역의 교회 슬라브어를 사용했고, 슬라보노세르비아어라는 절충식 문어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고대교회 슬라브어). 오늘날의 문어는 중부 방언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 중부 방언에서는 의문대명사인 'What?'이 'shto'(što)라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시토카비아...
  • 레스킨 August Leskien
    슬라브어 연구에 힘을 기울여 1871년 〈고대 불가리아어 입문 Handbuch der altbulgarischen Sprache〉을 출판했으며 그뒤에 나온 증보판들에서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문어를 매우 치밀하고 주의깊게 분석했다. 그밖의 저서로는 슬라브어·발트어·독일어 명사의 격 변화에 대한 연구(1876)와 리투아니아어 및...
    출생 :
    1840. 7. 8, 독일 홀슈타인 킬
    사망 :
    1916. 9. 20, 라이프치히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도브로프스키 Josef Dobrovsky
    돌아다녔는데 특히 1792년에는 30년전쟁 때 없어진 사본을 찾아 러시아와 스웨덴까지 여행했다. 성서의 원전비평이 계기가 되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연구하다가 한 어군으로서의 슬라브어를 독립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그의 해박한 지식은 또한 슬라브 문학·언어·역사·문화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게 되었다. 그의...
    출생 :
    1753. 8. 17, 헝가리 디오르마트
    사망 :
    1829. 1. 6, 오스트리아 제국 모라비아 브르노
    국적 :
    체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