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안재홍 민세, 安在鴻樗山) ・ 저음(樗陰) ・ 규당(逵堂) ・ 사암(竢庵)을, 대종교(大倧敎) 관계에는 응암(應庵)을 주로 사용하였다. 6~7세 때부터 두릉리 가숙(家塾)에서 한문을 수학하는 동안 ‘조선의 사마천(司馬遷)’이 되기를 다짐하였다. 1907년부터 부친의 권유에 따라 신학문을 배우기로 결심하고 평택의 사립학교인 진흥의숙(振興...
- 출생 :
- 1891년 12월 30일, 경기 평택(平澤)
- 사망 :
- 1965년 3월 1일
- 관련 사건 :
- 조선일보 필화 사건, 광주학생운동 보고를 위한 민중대회, 만주동포 구호 의연금 유용사건, 난징 군관학교 학생사건
- 본관 :
- 순흥(順興)
- 주요활동 :
- 1915년 조선산직장려계 회원, 1919년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의 총무, 1924년 조선물산장려회 이사, 조선일보사 주필 겸 이사, 1925년 조선사정연구회 조직, 1927년 신간회 창립 후 총무이사, 1931년 조선일보사 사장, 만주조난동포문제협의회의 조사선전부 상무, 1934~1938년 『여유당전서』 교열 ・ 간행, 1945년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동제사, 조선인유학생학우회, 조선산직장려계,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조선물산장려회, 흥업구락부, 조선사정연구회, 태평양문제연구회 조선지회, 신간회, 재만동포옹호동맹, 만주조난동포문제협의회, 조선어학회
-
저음 흡음체 低音吸音體, bass trap공간 음향 특성(특히 저음)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흡음체. 대회의장이나 극장 등에서 일반 확성 장치를 통해 연설을 청취할 때 스피커에서 나온 저음(300Hz 정도 또는 그 이하의 주파수)이 소멸되지 않고 계속 회의장 내에 존재하게 되면 음성 명료도를 저하시켜 연설 내용을 알아들을 수 없다. 따라서 여러 가지 크기...
-
-
바로크 시대의 서양음악혁신에 따라 이전 르네상스의 음악과 구별됨을 알 수 있다. 그중 하나인 콘체르타토 양식는 성악·기악의 대조, 결합, 교대에 의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인 계속저음(basso continuo)은 첼로나 바순과 같은 베이스 악기와 건반악기 혹은 류트에 의해 처리되었다(콘체르타토 양식, 계속저음). 이 시대에 새로 대두된 가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