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제상호원조회의 코메콘, 經濟相互援助會議
    1949년 1월 회원국의 경제개발을 촉진·조정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로서 1991년 6월 해체됨. 코메콘(COMECON)이라고도 함.|설립 당시의 회원국은 소련·불가리아·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폴란드·루마니아였다. 알바니아는 1949년 2월에 가입했으나 1961년말 활동을 중단했으며, 동독은 1950년 9월에, 몽골은 1962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기구
  • 경제상호원조회의 (관련어 경제 상호 원조..) Comecon, 経済相互援助..
    약칭 СЭВ, 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부는 소련 모스크바에 있었다. 이 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미국이 실시한 유럽 재건, 원조 계획인 마셜 플랜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당초 가맹국은 소련,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6개국이었으며...
    도서 위키백과
  •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中蘇友好同盟相互援助條約, Sino-Sov..
    양국의 경제·문화관계의 발전과 확고한 토대를 위한 상호 지원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소련의 3억 달러의 차관제공 및 기계설비와 기재를 소련으로부터 구입한다는 내용이 조인되었다. '중국 창춘[長春] 철도와 뤼순 항[旅順港] 및 다롄 항[大連港]에 관한 협정'도 조인되었다. 이 협정에 근거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국과 한국의 관계 미국과 한국과의 관계
    이후로는 경제적인 문제로 서로 마찰을 빚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미국은 안보상 긴밀한 협조국으로,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 이래 꾸준히 군사원조를 제공해 한국군의 현대화를 도왔고, 최신예전투기를 한국에 배치해 방어력을 강화하는 데 힘써왔으며 매년 한미합동의 팀 스피리트 훈련 등을 통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
    이라고도 부른다. 동남아시아 지역협력의 촉진, 외국의 간섭 배제 및 역내 국가의 평화와 안정 수호, 경제 ・ 사회 ・ 문화 ・ 기술 등 각 분야에서의 상호원조를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회원국은 1967년 8월 창설 당시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 5개국이었으나 1984년 브루나이, 1995...
  • 모로코의 경제
    정부는 모로코 인산청(Office Chérifien des Phosphates)을 두어 그 생산을 통제한다. 과거에는 광업개발을 도와준 소련을 중심으로 공산권 경제상호원조회의가 인회석 생산에 참여했다. 그밖에 철광석·납·코발트·아연·망간·은 등도 대량생산하며, 석유생산은 국내수요의 극히 일부만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헝가리 Hungary
    개인으로 바꾸고 의회에서 간선하도록 하고 있다. 외교정책의 기조는 중도좌경으로 1955년 유엔에 가입하였으며, 해체된 바르샤바조약기구(WTO)·공산권경제상호원조회의(CMEA) 등 기존 동맹권으로부터 탈피하여 전통 서유럽에로의 복귀를 국가의 최대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즉 범유럽 집단안보 및 협력체제에 참여하며...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중동부
    수도 :
    부다페스트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9만 3028㎢
    언어 :
    마쟈르어
    정부/의회형태 :
    의원내각제, 공화제, 국민회의
    종교 :
    가톨릭교, 개신교, 그리스정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독일의 분단과 통일
    마셜 플랜의 혜택을 받은 것과는 달리 소련과 폴란드 정부에 전쟁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동독 정부는 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로 구성되는 경제상호원조회의(COMECON)에 가입함으로써 중앙통제적 계획경제에 종속되었다. 농업집단화가 추진되고 노동생산성제고의 일환으로 노르마 향상이 강요됨으로써 농민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일
  • 발칸 반도의 경제
    은행이 있다. 그리스가 유럽 경제공동체(European Economic Community/EEC)에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으며 터키는 준회원국이다. 불가리아와 루마니아는 경제상호원조회의(Council of Mutual Economic Assistance/Comecon)의 회원국이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는 양 기구 모두에 관련되어 있고, 알바니아는 양쪽 모두와 무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대한민국의 대외관계
    끝났다. 바르샤바조약기구의 해체와 상호경제회의(CMEA)의 해체는 북한을 외교적, 경제적 고립에 빠뜨린 반면, 한국은 경제적 강국으로 부상한 데 힘입어 동유럽...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한국은 눈부신 경제성장에 힘입어 과거의 원조수혜국의 위치에서 벗어나 원조공여국으로 지위상승에 성공했고, 민주화로 인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프랑스-소련 상호원조조약 Franco-Soviet Treaty ..
    대해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1935년 3월 독일 재군비 선언 이후 프랑스 정부는 주저하던 외무장관에게 바르투가 시작한 모스크바와의 협상을 완료하도록 강요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주요 동맹국이었던 프랑스와 소련이 조약을 맺은 후, 1935년 5월 16일 체코슬로바키아-소련 동맹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도서 위키백과
  • 한미경제협력위원회 韓美經濟協力委員會
    임시회의의 개최를 통해 진행되었다. 업무의 신속을 기하기 위해 참관인과 기자는 일체 참석을 허용하지 않았다. 한미경제협력위원회는 미국이 제공하던 원조 자금 및 물자를 어떻게 사용하고 배분할지에 대해 협의하는 기관이었지만, 그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인다는 명분 아래 재정안정계획의 작성 및 시행, 확대성장...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경제상호원조회의의 기
경제상호원조회의(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