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덕전등록 전등록(傳燈錄), 景德傳燈錄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은 송나라 승려 도원(道原)이 지은 전등사서이다. 과거 칠불에서 서천(西天) 27조와 동토(東土) 6조로 계승되며 중국에서 전개된 전법의 계보를 정리한 책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전래된 이래 고려 후기에는 공민왕의 명으로 간행되기도 하고, 조선시대에는 승과의 과목으로 채택되는 등...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경덕전등록 The Jingde Record of the Tran..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Transmission of the Lamp)은 송나라 북송 진종 경덕(景德) 원년(1004년)에 황제의 명으로 고승 도언(道彦)이 출판한 불교 서적이다. 1700칙(則)의 공안이 기록되어 있다. 전등록이라고도 한다. 30권으로 되어 있으며, 중국 선종(禪宗)의 가장 대표적인 역사서로 널리 읽히고 있다. 1251년 완성...
    도서 위키백과
  • 창원 대광사 경덕전등록
    문화재 정보 창원 대광사 경덕전등록(昌原 大廣寺 景德傳燈錄)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대광사에 있는 책이다. 2015년 10월 29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604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5-10-29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은 중국의 조사(祖師)들뿐만 아니라 인도...
    도서 위키백과
  • 김해 보현사 불교전적류
    문화재 정보 김해 보현사 불교전적류(金海 普賢寺 佛敎典籍類)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보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경전이다. 2010년 10월 7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03호로 지정되었다가,경상남도 고시 제2010-535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0-10-07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도서 위키백과
  • 즉심시불 즉심즉불(卽心卽佛), 卽心是佛
    권10,『대정장』 9, p.465 하)는 경우와, 『대승찬(大乘讚)』에서는 “마음이 곧 부처인 줄을 이해하지 못하면 마치 말을 타고서 말을 찾는 것과 같다.”(『경덕전등록』 권29, 『대정장』51, p.449 중)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 경우에 마음[心]은 본래심(本來心)·청정심(淸淨心)·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진심(眞心...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혜청 파초(芭蕉), 慧淸
    중국의 불교문헌에 그와 관련한 일부 내용이 전하고 있다. 중국 유학승이며, 선종 가운데 일파인 위앙종(潙仰宗)의 법맥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의하면, 위산영우(潙山靈祐)-앙산혜적(仰山慧寂)-남탑광용(南塔光滽)-파초혜청의 법계가 확인된다. 또한 그의 스승인 광용의 생몰 연대로 볼...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유학승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구미 금강사 소장 전적 구미 금강사 소장 불복장 전적, 龜尾 金剛寺 所藏 典籍
    대사법보단경』은 1569년(선조 2), 평안도 상원 해탈사(解脫寺)에서 개판(開版)하고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의 심곡사(深谷寺)에 목판이 보관된 책이다. 『경덕전등록』, 『선가귀감』은 각각 1612년과 1614년에 간행되었다. 구성과 내용 ① 「태장계 만다라」 중앙의 글자는 밀교(密敎)에서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아(阿...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강원 승가 대학, 講院
    교육 방법도 현대적으로 바꾸고 있다. 대교과 이수 연한은 3년제와 3년 6개월제가 있는데, 3년제는 『화엄경』 · 『선문염송(禪門拈頌)』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의 3개 과목을 이수하며, 3년 6개월제는 『십지론(十地論)』 · 『선가귀감(禪家龜鑑)』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더하여 6개 과목을 이수...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구두선 口頭禪
    들어서면서 목판인쇄가 발전되어 대량으로 서적들이 판매가 되고, 수집하여 보관이 가능하였다. 이런 문화적인 변화는 선가(禪家)에도 영향을 미쳐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이나 『벽암록(碧巖錄)』과 같은 어록들이 제작되었다. 스승과 제자의 문답을 공안(公案)이라고 부른다. 공안이란 공공의 문서란 의미로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조당집 祖堂集
    조당집』은 왜 중국에서 일찍이 산일되었는가? 952년에 편찬된 『조당집』은 간행 후 바로 산일되어 중국에 전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1004년에 간행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이 같은 성격의 등사(燈史)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경덕전등록』은 관찬(官撰)의 역사서로서 황제의 서문을 실은 공식적인 기록...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조록찬송 佛祖錄贊頌
    선종 조사 총 442명의 약전(略傳)과 찬송을 중국의 어록·등사 등에서 발췌하여 수록한 것이다. 서문에는 본서에 인용된 전거에 대해, 광록(廣錄)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통재록(通載錄)·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지월록(指月錄)·천성광등록(天聖廣燈錄)·속등록(續燈錄)을, 약록(略錄)은 불조통기(佛祖統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
    창작/발표시기 :
    1921년
    성격 :
    불교서, 전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범어사 묘법연화경 범어사 법화경(梵魚寺 法華經), 梵魚寺 妙法蓮華經
    이 세상에 오신 뜻을 밝히는 데 그 요지를 두고 있으며, 『화엄경(華嚴經)』 · 『금강경(金剛經)』과 더불어 대표적인 대승 경전(大乘經典)이다. 예로부터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 『선문염송(禪門拈頌)』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어 강의되고 있으며, 한국 불교 사상의 확립에...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경덕전등록
구미 금강사소장전적 / 경덕전등록
김해 보현사 불교전적 / 경덕전등록 권22~2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