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게물떼새 crab plover도요목 게물떼새과에 속하는 섭금류. 긴다리를 가진 검고 흰 인도양 연안의 새로, 물떼새류와 근연종이다. 몸길이는 약 40㎝ 정도이며, 온순하지만 시끄러운 새이다. 해변 및 모래톱에서 무리를 형성하여 연체동물과 게를 잡아 먹으며, 육중한 부리로 이것을 부순다. 뭍에서는 등을 구부리고 있다. 모래톱에 1.5m 정도...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도요목 > 게물떼새과
- 원산지 :
- 아시아 (스리랑카), 아프리카 (소말리아,마다가스카르)
- 먹이 :
- 게
- 크기 :
- 약 38cm ~ 40cm
- 학명 :
- Dromas ardeola
- 식성 :
- 잡식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Crab-plover 게물떼새, カニチドリThe crab-plover or crab plover (Dromas ardeola) is a bird related to the waders, but sufficiently distinctive to merit its own family Dromadidae. Its relationship within the Charadriiformes is unclear, some have considered i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hick-knees, or the pratincoles, while oth...출처 영어 위키백과
-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철에는 검은색 눈선의 색이 연해져 어두운 얼룩처럼 보인다. 생태 서식지: 해안, 갯벌, 간척지, 염전 등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곤충류, 갯지렁이, 작은 게류, 식물의 씨앗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작은 무리를 이루거나, 흰물떼새 무리에 섞여 생활하는서 있을 때는 몸을 상하로 움직이는 습성이 있다. 둥지로는 땅...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물떼새과(Charadriidae)
- 학명 :
- Charadrius mongolus Pallas, 1776
- 국내분포 :
- 봄, 가을 우리나라 해안, 갯벌, 사구 등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 해외분포 :
- 파미르, 티베르, 추코트반도, 캄차카에서 번식하며, 아프리카. 인도, 뉴질랜드,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통과철새
-
검은머리물떼새 천연기념물 제326호, Eurasian Oystercatcher중동, 남아시아, 한국,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4아종으로 나눈다. 국지적으로 번식하는 드문 텃새다. 행동 해안가 바위 또는 간조 시 물 빠진 갯벌에서 작은 게, 굴, 조개,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바위 위 오목한 곳에 나뭇가지로 엉성하게 만든 후 갈색 바탕에 무늬가 있는 알을 3개 내외로 낳는다. 암수가...
- 분류 :
- 검은머리물떼새과(Haematopodidae)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326호
- 서식지 :
- 유럽, 캄차카반도, 동아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한국,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45cm
- 학명 :
- Haematopus ostralegus Eurasian Oystercatcher
-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시 날개 윗면에 큰 흰색 줄무늬가 있다. 생태 서식지: 무인도의 암초가 있는 곳, 하구의 삼각주, 개펄 등지에서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먹이습성: 작은 게, 굴, 조개,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길고 뾰족한 부리를 개펄에 깊숙이 넣어 먹이를 잡으며, 부리를 조개류의 껍질 사이에 넣고 비틀어 연다...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검은머리물떼새과(Haematopodidae)
- 학명 :
- Haematopus ostralegus Linnaeus, 1758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 국내분포 :
- 서해안과 남해안의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충청남도 서천의 유부도에서 2,000~3,000개체가 월동한다.
- 해외분포 :
- 유럽, 캄차카반도, 동아시아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중국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텃새, 천연기념물 제326호
-
검은머리물떼새9월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운평리 남양만 염전에서 남하중인 133마리를 관찰한 적도 있다. 현재 서해의 무인도에서 강화도를 거쳐 북한의 황해도와 평안북도 등지에 150개체 내외가 번식하리라고 추측한다. 먹이는 주로 해산 연체동물을 먹으며, 게·다모류·지렁이·곤충 및 작은 물고기 등과 해초류도 먹는다. 참고문헌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꼬까도요 꼬까물떼새, ruddy turnstone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극히 드물게 월동한다. 행동 바위가 있는 해안, 갯벌, 하구, 염전에서 서식하며 갯지렁이, 곤충류, 게 등을 찾아낸다.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는 경우가 많지만 먹이를 찾을 때는 여기 저기 흩어져 행동한다. 물가, 해초, 작은 돌을 부리로 들추어 속에 숨어...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 북부, 북미 북부의 툰드라지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남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22cm
- 학명 :
- Arenaria interpres Ruddy Turnstone
-
왕눈물떼새 王─, Mongolian Plover등지에 봄과 가을에 도래하는 나그네새이다. 걷거나 달리며 서 있을 때는 몸을 상하로 흔든다. 둥우리는 땅을 오목하게 파서 풀잎과 줄기로 알자리를 깐다. 6월 상순에 3개의 알을 사난한다. 곤충류, 지렁이, 작은 게, 식물의 씨앗을 섭식한다. 아시아 동부,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말레이시아, 호주에서 겨울을 보낸다.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물떼새과
- 서식지 :
- 해안의 모래밭이나 갯벌 등지
- 먹이 :
- 곤충류, 지렁이, 작은 게, 식물의 씨앗 등
- 크기 :
- 약 19cm
- 무게 :
- 약 64g
- 학명 :
- Charadrius mongolus
- 식성 :
- 잡식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분포지역 :
-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몽골
-
검은가슴물떼새 Golden Plover논, 호수,간석지, 습지·삼각주 등지에 무리지어 지내며 곤충류, 지렁이, 게 등과 풀씨, 열매를 섭식한다. 6~7월에 산란을 하여 암수 함께 포란하며 기간은 27일이다. 툰드라 지대에서 번식한다.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물떼새과
- 원산지 :
- 북아메리카, 유럽 (러시아)
- 서식지 :
- 논·호수·간척지·습지·삼각주
- 먹이 :
- 곤충류, 지렁이, 갑각류, 식물의 씨앗과 열매 등
- 크기 :
- 약 24cm
- 무게 :
- 약 860g ~ 1.23kg
- 학명 :
- Pluvialis dominica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27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