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건지농법 무관수재배, 乾地農法
    일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이 500㎜ 이하인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관개 없이 작물을 경작하는 것. dryland farming이라고도 함.|건지농법의 성공여부는 제한된 수분을 토양에 효과적으로 보존시키는 방법과 이 수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는 데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수분보존을 위해 수확 후 바로 땅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알라카 ar-Raqqah
    있다. 알라카 주는 면적 19,354㎢로 터키 국경을 따라 흐르는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반건조지역에 자리잡고 있다. 1973년 타바카 댐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건지농법이 행해졌으며 유프라테스 범람원(氾濫原)에서도 관개를 해야 했다. 타바카 댐과 그 뒤편에 자리잡고 있는 아사드 호 전체가 알라카 주에 속해 있어서 관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타갈로그족 Tagalog
    이들의 지방자치제(바리오)는 주변의 농지를 포함한 작은 마을들의 집합체이다. 쌀은 대부분 관개·배수 시설이 갖추어진 논에서 생산되지만 고지대에서 건지농법에 의해 생산되는 벼도 약간 있다. 주요 환금작물로는 사탕수수와 코코넛이 있다. 마닐라가 갖는 중요성 때문에 도시의 타갈로그족은 상업·금융·제조업...
  • 카스티야라만차 Castilla-La Mancha
    있다. 라만차에서는 대토지소유제가 우세한 반면 타호 강 북쪽에는 영세농이 많다. 농업이 이 지역에서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이다. 대부분의 경작이 건지농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작물은 밀·포도·올리브이다. 그밖에 해바라기·사프란·옻나무·목화도 생산된다. 산악지대에 농경지들이 분산되어 있어 영농의...
    위치 :
    스페인 중부
    인구 :
    2,031,479명 (2017 추계)
    면적 :
    79,463㎢
    대륙 :
    유럽
    국가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무르시아 Murcia
    있는 곳에 있다. 1900년 이후 상당수의 사람들이 이곳을 떠나 밭농사를 주로 하는 지역에서는 인구가 줄고 있다. 경작지의 절반 정도는 주로 보리 재배를 위한 건지농법이 이루어지지만 이것은 무르시아 주 전체 농산물 생산량과 비교해볼 때 극히 적은 비율로서 점차 관개농경에 밀리고 있다. 관개농경지에서는 주로...
    위치 :
    스페인 남동부
    인구 :
    1,531,141명 (2023년 추계)
    면적 :
    11,313㎢
    언어 :
    스페인어
    대륙 :
    유럽
    국가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기니비사우의 역사
    1,000여 년 전에 기니비사우 해안에는 철기를 사용하는 농경민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관개와 건지농법을 이용한 벼농사에 특히 뛰어났으며, 수단 서부의 인근지역에 소금을 공급해주는 주요공급원이기도 했다. 이 지역은 거의 같은 시기에 말리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 가부라는 속국이 되었다. 가부는 1546년 이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티하마트아시르 Tihamat 'Asir
    해당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서부의 산지와 홍해 사이, 예멘 정북쪽에 있다. 너비가 약 64㎞인 이 평야는 해수의 영향으로 토양에 염분이 있어 농경지로는 거의 쓸모가 없다. 그러나 비교적 물이 잘 공급되는 높은 비탈은 관개사업과 건지농법을 통하여 사우디아리비아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농업지역으로 탈바꿈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암굴주거 巖窟住居, cliff dwelling
    파기 시작했다. 그뒤 돌벽을 만들어 창고를 보강하고 지붕을 씌웠으며, 일부가 이 창고를 집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건조한 기후에 필요한 건지농법에 숙달되어 옥수수·호박·목화 재배로 생계가 완전히 해결되자 영구적인 촌락을 세우게 되었다. 땅 위에 집을 짓기 시작한 것은 바로 이무렵이었다. 암굴집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카이타족 Cahita
    남서부로 도주했다. 카이타족은 자급 농민들이었으며, 두랑고 서부의 고지대에서도 일부가 살았지만 대부분 건조한 저지에 거주했다. 고지의 카이타족은 건지농법을 사용했으며, 여름철의 강우에 전적으로 의존했다. 반면에 저지의 카이타족은 매년 일어나는 강의 범람을 이용하여 범람원에 옥수수·콩·호박 등을 경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보난자 농장이란 무엇인가?
    파고(Fargo)에 놓이면서 농부들은 생산물을 보다 먼 지역까지 보낼 수 있었다. 또 과거에 너무 건조해서 농사에 적합하지 않다 여겼던 대초원에서 건지 농법(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농지를 한 해 걸러 재배하는 농사법)을 이용하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이러한 조건들이 갖춰지면서 서부 농장은 커다란 부의 근원인...
  • 제민요술 Qimin Yaoshu, 斉民要術
    이나 남조의 《식경(食經)》 등 유문(遺文)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책은 영농생활의 실제에 관해서 농경·축산부터 가공·판매·조리에 이르고, 서술은 엄밀하여 동아시아 건지이경농법(乾地犁耕農法)과 그 농경문화의 정식(定式)이다. 가사협 지음, 최덕경 옮김, 《제민요술 역주》(전 5권), 세창출판사, 2018년 12월 15일
    도서 위키백과
  • 학교면
    환경농법으로 재배한 팽이버섯, 부추, 맛과 육질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무화과 등이 있다.|colspan=3|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colspan=2 width="40%"| 구 행정구역 !! width="40%"| 신 행정구역 |-|rowspan=7|목포부 금동면(金洞面) || 남악리(南岳里), 옥서리(西玉里), 월곡리(月谷里), 금주동(金迪洞...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