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대신경섬유 거대축삭, 巨大神經纖維
    바퀴벌레와 같은 무척추동물에 있는 지름이 매우 큰 신경섬유. 거대축색이라고도 함.|신경섬유는 크기에 따라 충격전도속도가 다양하므로, 거대신경섬유는 작은 신경섬유보다 동물들이 위험에 더 빨리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거대신경섬유 거대축삭(巨大軸索, giant axon..
    일부 무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는 매우 굵은 신경섬유.
  • 신경로가 지나는 길
    뇌간의 기저부를 지나요. 중뇌 양쪽에는 대뇌각기저부(crus cerebri, 대뇌다리바닥)가 대뇌각(cerebral peduncle)에서 이어지며 돌출되어 있습니다. 이 거대신경섬유다발이 바로 피질척수로입니다. 교뇌 앞쪽으로도 툭 튀어나온 구조가 있죠. 이를 교뇌기저부(Basilar Pons, 다리뇌바닥)라고 합니다. 고유교뇌(pons...
  • 변연계 감정을 일으키는 변연 시스템
    곁에 있는’이라는 뜻이죠. 시상하부의 실방핵도 마찬가로 뇌실 곁에 붙어 있는 신경핵이란 의미죠. 변연엽의 안쪽 고리에는 좌뇌와 우뇌를 잇는 거대한 유수신경 섬유다발인 뇌량과 내측두엽에 위치한 해마형성체가 있습니다. 뇌량은 뇌량슬(genu of corpus callosum, 뇌들보무릎)과 뇌량팽대(splenium of corpus...
  • 신경세포 생명은 세포의 작용이다
    신경다발막(perineurium)으로 싸여 만들어집니다. 신경신경섬유다발들이 모이고 신경외막(epineurium)으로 외피를 형성합니다. 출발과 목표 지점이 같은 신경섬유들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다발을 이뤄 여러 방향으로 뻗어나가지요. 그러면서 거대한 신경망이 만들어집니다. 유아기의 신경세포 수는 청소년기보다 두 배...
  • 사람 이름이 붙은 해부 구조물
    세포, 거대추체세포 – Vladimir Alekseyevich Betz (블라디미르 베츠 1834~1894년) Billroth's cord 빌로트끈 splenic cord 또는 red pulp cord 지라끈; 적색속질끈 – Theodor Billroth(테오도르 빌로트 1829~1894년) Bowman's capsule 보우만주머니 capsula glomeruli 또는 glomerular capsule 토리주머니 – Sir...
  • 척수신경 지배 영역이 다른 31쌍의 척수신경
    운동을 담당하며 척수를 따라서 상하로 연결됩니다. 결국 척수의 맨 앞쪽에 거대하게 확장된 신경절이 대뇌가 되지요. 척수의 앞쪽 말단이 크게 발달하여 대뇌가...뼈와 같은 형태라 주장했습니다. 흉수 T1∼T4의 전각에서 나온 신경절전섬유와 시냅스한 교감신경절의 신경원은 심장과 연결되어 심장의 수축력을 높여...
  • 신경 네트워크 머리에서 발끝까지 온몸을 지배하다
    연결되어 거대한 다세포 생명체인 동물이 한 몸을 형성하여 여러 세포들이 함께 반응하고 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까요? 다세포 동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척추동물 신경시스템의 개념도를 보면 망막이 중추신경계의 일부임이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척수신경은 척수 사이 구멍에서 나오죠. 신경계는 중추신경계...
  • 신경해부학의 역사
    1879년까지 키예프대학의 교수로 있었다. 1874년 그의 이름이 붙은 거대피라미드세포를 발견, 기술하였다. 랑비에(Louis Antoine Ranvier, 1835∼1922년)는 실험...l'histologie du systeme nerveaux』을 저술하였다. 여기에서 수초신경섬유의 중간 중간이 중단되어 있는 부분을 최초로 기술하였고 그의 이름이 이 구조...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큰결장증 megacolon
    기본적인 2가지 유형으로는 히르쉬스프륑병이라고도 하는 선천성 큰결장증과 후천성 큰결장증이 있다. 선천성 큰결장증은 대장의 말단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신경섬유가 태어날 때부터 없어서, 이 부위에서는 근육이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수축하는 현상인 연동운동이 일어나지 못하므로 장 속에 있는 내용물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호지킨 Sir Alan (Lloyd) Hodgkin
    제자인 헉슬리와 각각의 신경섬유에 대한 전기적·화학적 작용을 측정하는 연구를 했다. 이들은 오징어의 일종인 롤리고 포르베시(Loligo forbesi)의 거대신경섬유에 미세 전극을 주입해서 충격의 전도기간 동안의 섬유의 전기적 전위는 휴지전위를 훨씬 능가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것은 충격 전도시에...
    출생 :
    1914. 2. 5, 잉글랜드 옥스퍼드셔 밴버리
    사망 :
    1998. 12. 20, 케임브리지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환형동물의 내부형태
    있는 신경절 및 신경들에 의해 조절되며, 체절마다 체벽·측각·소화관 등에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분포되어 있다. 많은 종류의 다모류에는 신경색에 거대신경섬유가 있어 자극을 빨리 전달할 수 있다. 소화계 일반적인 소화계는 수직관으로서 입이 식도로 연결되고 이것이 다시 장과 항문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육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환형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