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갤리선 galley
    고대 여러 민족들이 전쟁과 상업용으로 돛이 달린 갤리선을 이용했다. 갤리선은 많은 선원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지만 조종이 쉬워서 중세 성기까지 평상시나 전시에 가장 많이 쓰였다. 바이킹족이 사용한 배는 한쪽에 최대 10개의 노와 가로돛 하나를 갖춘 작은 갤리선으로 50~60명을 태울 수 있었다.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범요선 (관련어 갤리선) Galley, ガレー船
    순풍을 탈 때는 돛을 보조 추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주된 추진력은 노를 젓는 인력이기 때문에 풍향과 조류로부터 독립적으로 침로를 잡고 항해할 수 있다. 하지만 노와 노꾼을 수납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흘수선이 낮아 악천후에 취약했기 때문에 원양항해에는 부적절했다. 범선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노와 충각 시대의 군함
    쌍각(역V자) 마스트와 대형 가로돛으로 의장되었다. 이집트의 대형 선박들에는 한쪽에 20개 이상의 노와 2개 이상의 키잡이 노가 있었다. 병선(兵船) 겸용 갤리선(船)은 형태는 같지만 보다 견고하게 건조되었다. 그중에는 선체 밖으로 돌출한 충각(衝角)을 장치한 갤리선도 있었다. 그 충각은 적선의 건널뱃전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살라미스 해전 Battle of Salamis
    BC 480년까지 크세르크세스 왕이 이끄는 페르시아군은 그리스의 대부분 지역을 유린했고, 약 800척의 갤리선으로 이루어진 페르시아 해군은 370여 척의 소형 갤리선으로 이루어진 그리스 함대를 사로니코스 만에 가두어놓고 있었다. 이때 그리스의 사령관 테미스토클레스가 페르시아 함대를 유인해 살라미스 섬 근처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테미스토클레스 Themistocles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리스가 이 전략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전함이, 그것도 새로 개발한 3단 노가 달린 특수 갤리선이 필요했다(트라이림). 테미스토클레스는 당시 70척이던 아테네의 함대수를 2배나 3배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반대에 부딪쳤다. 이같은 반대에는...
    출생 :
    BC 524경
    사망 :
    460경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충각 ram
    이 장치는 BC 1200년경 이집트인들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후 페니키아와 그리스·로마의 갤리선들에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갤리선은 원양 항해를 하는 군용선으로 주로 노를 저어 추진되었다. 충각은 19세기 중반 해양전투에서 다시 단기간 사용되었으며, 특히 미국 남북전쟁과 1866년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해전 海戰, naval warfare
    초기의 해전에 이용된 선박들은 처음에는 상선이나 어선이었지만, 나중에는 전투용으로 특별 제작된 배들이 등장했다. 가장 오래된 군함은 많은 노를 갖춘 갤리선(船)이었는데, 이것은 배마다 많은 노잡이가 필요하여 함대를 배치하는 데 상당수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이 노로 움직이는 대형의 갤리선들은 공격력을 수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피트 헤인 거침없는 노략질의 대가
    10대 외항 선원, 갤리선 노예, 사업가, 해적, 해군 제독. 네덜란드의 국민 영웅 피트 헤인(Piet P. Hein)의 인생 역정이다. 15~17세기 스페인과 독립전쟁을 치르면서도 세계에서 가장 부유했다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를 엿볼 수 있는 단면이기도 하다. 1577년 로테르담에서 외항 선장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10대 초반...
  • 뱅상 씨 무슈 뱅상, Monsieur Vincent
    섬세하게 촬영한 〈뱅상 씨〉는 자기 희생이라는 고귀한 가치의 증언록이다. 이 영화는 오랜 세월 감옥에 갇혀 노예생활을 하다가 고국 프랑스로 탈출해 갤리선의 종군 신부가 된 사제 빈켄티우스 (생 뱅상 드 폴)의 생애를 극화한 것이다. 뱅상은 갤리선에서 노를 젓게 된 불행한 사람들에 동정심을 느껴 새로운 교단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선박의 기원
    동지중해를 지배한 크레타인의 배, 특히 그 후손인 페니키아인의 배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나, 다만 이들 민족이 군함과 상선, 노를 사용한 갤리선(galley)과 범선을 최초로 구별한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을 뿐이다. 갤리선은 폭이 좁고 밑이 얇기 때문에 선체를 길게 만드는데, 이러한 배 모양은 세로방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콜베르 장바티스트 콜베르, Jean-Baptiste Colbert
    만들어 필요한 설비를 갖추고, 항구를 요새화하고, 상선을 장려하는 것을 의미했다. 대서양 함대는 범선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지중해 함대는 노를 젓는 갤리선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서양 함대에 인원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직업 선원들과 고용 계약을 맺어야 했다. 갤리선에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기 위해 콜베르는...
    출생 :
    1619. 8. 29, 프랑스 랭스
    사망 :
    1683. 9. 6,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농민봉기와 폭동의 원인, 소금
    매질한 다음 광장에서 그의 오른쪽 어깨에 달군 쇠로 대문자 G의 낙인을 찍을 것을 명한다”는 것이 최종 판결 내용이었다. 여기에서 G는 갤리선을 가리킨다. 다음에 걸리면 갤리선에서 죽을 때까지 노를 저어야 한다는 의미다. 당시 갤리선 노수(櫓手)의 삼분의 일이 가벨 위반자들이었다. 소금세 가벨은 프랑스혁명 중...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갤리선(galley)
악티움 해전에 사용되었던 갤리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