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비자나무 Korean Plum-yem분포지역 중국, 일본 등의 동부아시아와 히말라야에도 5종이 자람; 경기도와 충북 이남지역(북위 38˚이남)의 표고 100~1,300m지역에 분포. 형태 상록침엽관목, 수형: 자생상태에서는 수형이 안잡히나 인위적으로 재배시 원뿔모양이다. 크기 높이 3~6m 정도. 잎 잎은 선형으로 37~ 40mm × 3 ~ 4mm정도이지만 맹아의 것...
- 분류 :
- 구과목 > 개비자나무과 > 개비자나무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Cephalotaxus koreana Nakai
- 개화기 :
- 4월
-
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榧子─주목과 개비자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소교목. 개설 제주도 · 울릉도를 제외한 경기도와 충청북도 이남에 자생한다. 눈개비자나무, 누은개비자나무, 좀개자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Cephalotaxus koreana Nakai 이다. 나무의 지름은 5∼25㎝, 높이 5∼10m이다. 경기도 화성시 융릉에 소재한 개비자나무는 200...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개비자나무 좀비자나무, Korean Plum-yem개요 숲 속에 자라는 상록침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3m쯤이다. 잎은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양면에 중륵이 뚜렷하고 뒷면 중륵 양쪽에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꽃은 3-5월에 암수딴그루에 핀다. 수꽃은 둥근 꽃차례에 20-30개씩 달리고 꽃차례 밑에 포가 10개쯤 있다. 암꽃은 한 군데에 2개씩 달리며 10개쯤의...
- 분류 :
- 나자식물문 > 소나무강 > 개비자나무목 > 개비자나무과 > 개비자나무속
- 서식지 :
- 산지 숲 속
- 학명 :
-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ex Forbes) K. Koch
- 국내분포 :
- 경기도 이남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
개비자나무 비자(枇子), 개榧子나무잎 어긋나고 길이 30~40mm의 가늘고 짧은 선형이다. 깃꼴로 배열된 것처럼 보이며 양 끝이 뾰족하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두 줄로 된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꽃 4월에 피며 암수딴그루이고 단성화이다. 수꽃이삭은 둥글고 암꽃이삭은 둥글거나 타원형이다. 암꽃은 2개씩 한군데에 달리고 10여 개의 뾰족한 녹색 꽃...
- 분류 :
- 상록 침엽 관목
- 학명 :
- Cephalotaxus koreana
- 분포지역 :
- 경기·충북 이남
- 자생지역 :
- 산골짜기, 숲 밑 습지, 평야 습지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씨·열매·잎
- 생약명 :
- 비자(榧子)
- 키 :
- 3m 정도
- 과 :
- 주목과
- 채취기간 :
- 10월(씨)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보통이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8~10g
- 주의사항 :
- 비자나무·향비자나무의 씨
-
개비자나무 좀비자나무, Plumyew생물학적 특징 상록성 침엽 관목 잎은 선형, 끝은 뽀족, 이면의 중륵은 뚜렷, 양쪽에 2개의 흰줄이 존재, 주목보다 잎이 길다. 꽃은 단성화, 3-4월 개화, 자웅이주 수화서는 구형, 20-30개의 꽃, 10개의 포 암화서는 구형, 2개의 꽃, 10개의 포 종자는 장과와 비슷한 구과, 10-1월 성숙, 타원형, 가종피는 육질산속의 숲...
- 분류 :
- 주목과(Taxaceae)
- 서식지 :
- 한국(중부이남)
- 학명 :
- Cephalotaxus koreana Nakai
- 본초명 :
- 토향비(土香榧)
- 분포지역 :
- 가짜 비자나무라는 뜻에서 유래
- 근연식물 :
- 비자나무
-
개비자나무 plum-yew, コウライイヌガヤ•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잎 : 길이 37∼40mm이지만 맹아(萌芽)의 것은 75mm에 달하는 것이 있고 과지(果枝)의 것은 길이 20∼25mm이며 4∼5년만에 떨어진다. • 줄기 : 높이가 3m, 지름 약 5cm에 달하며 가지는 돌려나기하고 옆으로 퍼진다. • 꽃 : 단성화(單性花)로서 4월에 피고 수꽃은 길이 5mm 내외로서...
- 분류 :
- 주목과
- 서식지 :
- 산골짜기, 숲 밑의 습기 많은 곳
- 학명 :
- Betula chinensis Maxim.
- 분포지역 :
- 한국(경기, 충북 이남)
- 번식 :
- 종자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
-
눈개비자나무 Dwarf Korean plum yew분포지역 경기도와 충북 이남의 표고 100-1,300m의 계곡과 산기슭에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상록침엽관목 크기 수고 3m 정도 잎 잎은 길이 5㎝내외의 선형으로 침엽수이지만 약간 넓적하고 길어서 주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의 백색 기공조선(氣孔條線)이 있다. 과지의 것은 길이가 짧으며 4-5...
- 분류 :
- 구과목 > 개비자나무과 > 개비자나무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nana (Nakai) Rehder
- 개화기 :
- 4월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華城隆陵─榧子─비스듬히 위쪽으로 성장해 있다. 이 세 개의 줄기들은 수관도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서 보지 않으면 마치 세 그루의 개비자나무가 각각 자란 것처럼 보인다. 나무는 융건릉 관리사무실이 있는 재실 안마당에 있다. 나무 주위에 원형으로 돌을 둘러 세우고 복토를 해 놓았다. 노령화와 관리 부실로...
- 시대 :
- 현대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제504호
- 서식지 :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 융릉 재실 내(안녕동)
- 성격 :
- 식물, 목본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4m, 가슴높이 줄기둘레 68㎝, 80㎝, 45㎝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500년
- 개화기 :
- 4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큰개비자나무자루가 없다. 꽃 암수딴그루로 꽃은 4~5월에 피고 수꽃은 묵은 가지에 군생하며 이삭은 구형이다. 암꽃이삭은 전년지 끝부분에 난다. 열매 10월에 꽃차례에서 1~2개 성숙한다. 줄기 가지는 퍼지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벗겨지며 일년생가지는 엷은 녹색이고 동안느 좁은 달걀모양이다. 용도 정원수
- 분류 :
- 구과목 > 개비자나무과 > 개비자나무속
- 학명 :
-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 개화기 :
- 5월,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