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학회 强學會, Study of National Strengthening
    중국 청나라 말기 개혁파 최초의 정치단체.|1895년 8월 베이징에서 조직되었다. 천츠[陳熾]와 장샤오첸[張孝謙]이 총책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캉유웨이[康有爲]와 량치차오[梁啓超]가 이끌었다. 관리와 지식인 수십 명으로 구성된 강학회는 "중국 자강의 학문을 연구한다"는 취지에서 매월 10일의 집회 이외에, 개혁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천진암 天眞庵
    이승훈(李承薰), 김원성(金源星) 등은 독특한 학풍을 형성하며 천진암과 여주군 금사면(金沙面) 하품리(下品里)에 있던 주어사(走魚寺)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강학회(講學會)를 가졌다. 강학의 내용은 유교경전을 위주로 했는데 그들이 천진암에서 강학회를 계속하던 중, 조선천주교회의 창설단원 중의 한 사람인 이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십계명가 十誡命歌
    鶯子山)에 있는 주어사와 천진암(天眞菴)에서 그 제자들과 천주교 교리에 관한 강론(토론회)을 가졌다. 천주교측에서는 이 토론회를 ‘강학회(講學會)’라고도 부르는데, 이 강학회에 모인 사람은 이승훈 · 정약전 · 권상학 · 이총억 · 이벽(李檗) 등이었다. 이 강학회가 끝난 뒤, 천주교 교리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이벽 덕조, 李檗
    주었다. 1779년(정조 3) 정약전(丁若銓) 등 기호지방의 남인학자들이 광주의 천진암(天眞庵)과 주어사(走魚寺)에서 새로운 사상과 실학적인 학문을 모색하는 강학회(講學會)를 열었는데, 이때 그는 천주교에 대한 지식을 전했다. 1784년 중국에 가게 된 이승훈에게 영세를 받아올 것을 부탁했고, 그가 세례를 받고...
    출생 :
    1754(영조 30), 경기 포천
    사망 :
    1785(정조 9), 서울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양계초 양탁여(梁卓如), 梁啓超
    중국 전역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변법자강 운동의 시작이었다. 1895년 양계초는 강유위와 함께 ‘변법유신’을 주장하는 강학회라는 단체를 만들었다. 이듬해인 1896년에는 상해에 강학회 분회를 설립하여 개혁 사상의 전도지인 〈시무보(時務報)〉를 창간했다. 그는 주필로서 “변화하고자 해도 변하고, 변화하고자...
    출생 :
    1873년
    사망 :
    1929년
  • 한국 천주교 강학지 韓國 天主敎 講學址
    사찰로 여겨진다.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권철신(權哲身)의 묘지명에는 천진암이 주어사와 함께 언급되고 있다. 정약용은 여러 차례 천진암을 유람차 방문하였으며, 강학회에는 정약용의 주변 사람들이 권철신과 함께 참여하였다. 1824년 정약용이 유배 생활을 끝내고 방문했을 때 천진암은 이미 쇠락해 가고 있었던 것...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터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설화산 오봉암 雪華山 五峰庵
    기재되어 있다. 18세기 말에 간행된 『범우고(梵宇攷)』에는 신심사, 동심사, 개현사가 현존하는 것으로 나와 오봉암은 그 이후에 중창된 것으로 보인다. 오봉암 인근에 위치한 봉곡사(鳳谷寺)는 조선 후기에 몇 차례 중창되었다고 하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강학회를 열기도 했던 곳이다. 참고문헌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벽선생몽회록 이벽전
    형태로 구성된다. 이벽은 죽고 60년 뒤 1846년 병오 6월 14일의 꿈에 다시 현세에 나타난다. 이는 초기 서학 박해 당시 천진암(天眞庵) · 주어사(走魚寺) 강학회에서의 이벽의 공덕과 그의 죽음이 작자에 의하여 신성화되어, 박해에도 신앙을 강화시킬 것을 당부하는 주인공으로 형상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유등연지
    떠 있는 정자인 군자정과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한다. 군자정은 조선시대 모원 이육 선생이 청도에 은거하면서 세웠으며, 당시 연꽃도 함께 심었다고 전해진다. 유등 연지에서는 매년 4월 초파일에 청도 유등축제가 열리며, 매년 음력 8월 18일에는 군자정 강학회가 개최된다. *사진 출처: 청도군 SNS홍보단 진성옥 기자
    위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연지로 207
  • 천진암
    파견하던 이벽 광암공을 중심으로 한 젊은이들의 단체가 있던 본거지가 바로 천진암으로 이 젊은 작은 공동체가 한국교회의 출발이 된 총림이었다. 이 [강학회]를,[총림],[소림],[강학],등으로 정약용 선생은 표현하였고, 영국의 Longford 교수는 1800년대 말에 그의 연구서에서, 젊은 양반 선비들의 연구모임 [동호인회...
    도서 위키백과
  • 정약전 丁若銓
    정약전(1758∼1816). 약현(若鉉), 약종(若鍾), 약용(若鏞)의 4형제 중 둘째로 일찍이 권철신(權哲身)에게 사사(師事)하였고 1779년 주어사(走魚寺) 강학회에 회원으로 참석하여 천주교를 연구하였다. 이어 1785년에는 역관(譯官) 김범우(金範禹) 집에서의 공동집회에 참석하는 등 초기 조선 교회 창설에 큰 역할을...
  • 유곤일 Liu Kunyi, 劉坤一
    전쟁(淸日戰爭) 때에는 흠차대신(欽差大臣)에 임명되어 산해관(山海關) 내외에서 작전에 부딪혔다. 또한, 광서 21년(1895)에는 강유위(康有爲)가 주재하는 강학회(强學會)에 은 5천량을 기부하여 변법자강운동(變法自强運動)을 지지했다. 광서 24년(1898), 무술변법(戊戌變法)에서는 급격한 개혁을 외면하고 있었지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캉유웨이 (康有爲)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