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약약 장단단격, 强弱弱格
    시의 음보.|장단단이라고도 한다. 고전시에서는 1개의 장음절 다음에 2개의 단음절이, 영시에서는 1개의 강세음절 다음에 2개의 무강세 음절이 온다. 고전시에서 가장 오래전부터 널리 써온 운율이 바로 이 장단단 6보격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Iliad〉와 〈오디세이아 Odyssey〉를 비롯한 여러 서사시에 나온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음보 音步, foot
    He who' 같은 어구에서 볼 수 있듯이 영시에서 이런 경우는 보통 2개의 홑음절로 되어 있다. 영시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음보로는 약강격·강약·약약강격·강약약이 있다. 약강격(iamb)은 1개의 강세 없는 음절 다음에 1개의 강세 있는 음절이 뒤따르는 음보로, 예컨대 re|pórt가 그런 경우이다. Dái|ly처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6보격 六步格, hexameter
    대개 강약약()이다. 강약약의 6보격 시행은 그리스의 시형식으로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리스어·라틴어로 쓴 서사시와 교훈시에서 가장 많이 쓰인 운율로서 영어 작시법의 약강 5보격과 비교되는 위치에 있다. 호메로스와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는 강약약의 6보격 시행으로 되어 있다. 영시에서는 아서 휴 클러프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운율학 韻律學, prosody
    forget' 이라는 낱말은 강세가 없는 음절(약음절) 뒤에 강세가 있는 음절(강음절)이 나온다. 영시에서 찾아볼 수 있는 4가지 주요음보에는 약강격 강약 강약약 약약강격 이 있다. 하나의 시행이 1개의 음보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그 시행을 1보격(步格)이라고 부른다. 2개의 음보로 이루어져 있으면 2보격, 3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칼레발라 Kalevala
    왕으로 세례받으며, 이교도인 베이네뫼이넨은 그 자리를 양보하고 칸텔레와 노래를 버린 채 핀란드를 떠난다. 이 서사시는 각운 없는 8음절 강약강약약(칼레발라 운율)으로 씌어졌으며 문체의 특성은 두운법·대구법·반복법이다. 핀란드 민족정신을 고양시키는 이 시는 적어도 20가지 언어로 번역되었고, 악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서사시환 Epic Cycle, 叙事詩環
    두 서사시를 서사시환에 포함하기도 하지만 보통 "서사시환"의 서사시는 일리아스, 오디세이아를 제외한 다른 서사시만을 지칭한다. 이 서사시들은 모두 강약약의 육각운으로 지어졌다. 통상 서사시환은 ‘트로이환’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테베에 관한 서사시의 모음집인 테바이권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제목...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