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약 장단격, 强弱格
    시의 음보.|장단이라고도 한다. 고전시의 경우 하나의 장음절 다음에 하나의 단음절이 나오며, 영시의 경우 하나의 강세음절 다음에 하나의 무강세음절이 나온다.고대 그리스·로마의 비극 및 희극에서 불완전 4보장단이라는 형태로 널리 쓰였고 특히 플라우투스와 테렌티우스가 즐겨 썼다. 강약은 영시에는 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사보 四步格, tetrameter
    영어 운율에서 음보는 대개 약강격(처럼 1개의 비강세음절 다음에 1개의 강세음절이 오는 것)·강약(처럼 1개의 강세음절 다음에 1개의 비강세음절이 오는 것)이거나, 이 2가지 형식이 결합된 형태이다. 약강 4보격은 약강 5보격과 더불어 영시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운율이다.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전통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음보 音步, foot
    있다. 영시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음보로는 약강격·강약·약약강격·강약약이 있다. 약강격(iamb)은 1개의 강세 없는 음절 다음에 1개의 강세 있는 음절이 뒤따르는 음보로, 예컨대 re|pórt가 그런 경우이다. Dái|ly처럼 1개의 강세 있는 음절 뒤에 1개의 강세 없는 음절이 뒤따르는 음보가 강약(trochee...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운율학 韻律學, prosody
    forget' 이라는 낱말은 강세가 없는 음절(약음절) 뒤에 강세가 있는 음절(강음절)이 나온다. 영시에서 찾아볼 수 있는 4가지 주요음보에는 약강격 강약 강약약 약약강격 이 있다. 하나의 시행이 1개의 음보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그 시행을 1보격(步格)이라고 부른다. 2개의 음보로 이루어져 있으면 2보격, 3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칼레발라 Kalevala
    왕으로 세례받으며, 이교도인 베이네뫼이넨은 그 자리를 양보하고 칸텔레와 노래를 버린 채 핀란드를 떠난다. 이 서사시는 각운 없는 8음절 강약과 강약약(칼레발라 운율)으로 씌어졌으며 문체의 특성은 두운법·대구법·반복법이다. 핀란드 민족정신을 고양시키는 이 시는 적어도 20가지 언어로 번역되었고, 악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플라우투스 Plautus
    것으로 여겨지는 플라우투스의 희곡은 그리스 원작처럼 운문으로 씌어졌다. 그가 사용했던 운율에는 메난드로스가 이미 썼던 약강격의 6운각(세나리우스)과 강약의 7운각(셉테나리우스) 등이 있다. 그러나 플라우투스는 좀더 긴 약강격 및 강약의 시행과 더 정교한 리듬으로 운율에 변화를 주었다. 그는 화자나 행동...
    출생 :
    BC 254경
    사망 :
    184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롱펠로 Henry Wadsworth Longfellow
    물러났다. 1855년에는 헨리 로스쿨크래프트가 북아메리카 인디언족들에 관해 쓴 2권의 책을 바탕으로 하고, 핀란드 서사시 〈칼레발라 Kalevala〉의 강약 운율을 사용하여 〈히아와타의 노래 The Song of Hiawatha〉를 내놓아 즉각적인 호평을 받았다. 1861년 2번째 아내가 옷에 불이 붙는 사고로 타죽자 우울증에...
    출생 :
    1807. 2. 27, 미국 매사추세츠(지금의 메인 주) 포틀랜드
    사망 :
    1882. 3. 24,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핀란드 민요
    핀란드 민요는 풍요로웠고 폭넓은 형식을 지니고 있었다. 한 행이 강약 4음절로 이루어진 운율은 핀란드어에 잘 어울렸고, 긴 절을 기억하는 데 적합했다. 대부분의 시는 서사적 연시(連詩)이거나 짧은 노래였다. 서사시들은 신화적 사건이나 영웅의 업적을 중점적으로 노래했다. 세계 창조에 관한 초기 시나 삼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운문 韻文
    기초를 두었으나 16세기 후반 이후부터는 고전적 운율법을 버리고 음의 강약에 근거를 두는 운율법을 채택하게 되었다. 영시의 운율은 음보(foot)의 구조에 따라...등으로 나뉘기도 하며, 한 행의 시를 구성하는 음보의 수에 따라 1음보에서 8음보까지로 나뉘기도 한다. 이밖에 운문적 요소로는 반복구·연의 조절...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보격 步格, metre
    절이 번갈아서 나오는 시이다. 예를 들면 가장 일반적인 영시의 보격인 약강 5보격은 한 시행이 10개의 음절이며 5개의 약강격 음보로 되어 있다. 하나의...약강격 음보를 이루지만 그 두 단어의 음질의 차이는 매우 크다. 아무리 형식에 충실한 보격에서라도, 특정한 음의 음질·높이·강약은 모운·자운·각운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운율 韻律
    고저·강약·장단 율격처럼 복합적인 것을 복합율격체계라고 한다. 압운은 시행의 어떤 자리에 일정한 소리를 배분하여 그것이 체계적으로 대응 반복하게 함으로써 운율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한시와 영시 등의 각운(脚韻, end rhyme)은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각운은 단어의 후미(後尾)가 같은 소리(음운조직)로 되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실험도해 조선어음성학 實驗圖解 朝鮮語音聲學
    파리대학 스라메크의 음성학 실험에서 1928년에 국어의 음성을 실험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서 엮은 책이다. 내용 실험음성학은 말소리의 위치·고저·강약·장단·청탁 및 평·경·(平·硬·激) 등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이라고 보고, 주로 생리음성학의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짜여져 있는데...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극로
    창작/발표시기 :
    1947년
    성격 :
    학술서, 국어음성학연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아문각, 雅文閣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