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가 왕조 Ganga dynasty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린 서(西)강가 왕조(250~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1434/35).|이 두 왕조는 서로 별개로 관계가 멀다. 서(西)강가 왕조의 첫번째 왕인 콩가니바르만은 정복을 통해 왕국을 건설했지만, 후계자인 마다바 1세와 하리바르만은 팔라바·찰루키아·카담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강가 왕조 (관련어 강가왕조) Ganga Dynasty
    강가 왕조는 다음을 의미한다. 동강가 왕조 : 오늘날 인도 오디샤주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오리야계 왕조. 서강가 왕조 : 오늘날 인도 카르나타카주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칸나다계 왕조.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동강가 왕조 Eastern Ganga dynasty, 東ガンガ朝
    부족의 신을 시바-고카르나스와민이라는 이름으로 가문의 수호신으로 인정했다고 기록한다. 금석학자 존 페이스풀 플릿은 강가와디와 콜라할라푸람을 강가 왕조(서기 350년에 건국)와 서강가 왕조가 통치한 콜라르로 구분했다. 초기 및 후기 동강가 왕들은 모두 동카담바 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이들은 토후...
    도서 위키백과
  • 라슈트라쿠타 왕조 Rastrakuta dynasty
    칸나다어로 쓴 최초의 시집 〈카비라자마르가 Kavirājamārga〉의 일부를 지었다. 전쟁에 뛰어난 기량을 보인 왕들도 있었다. 드루바 1세는 강가바디(마이소르)의 강가 왕조를 정복하고 칸치(칸치푸람)의 팔라바 왕조를 제압했으며 카나우지 지역을 놓고 다투던 벵골 왕과 프라티하라 왕을 물리쳤다. 878년 왕위에 오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촐라 왕조 Cola dynasty
    점령했다. 강력한 통치자였던 라자라자 1세(985~1014 재위)는 벵기(고다바리 지역들)를 방어하고 강가바디 영토(카르나타카 국)를 점령했으며 서쪽의 강가 왕조를 멸망시켰다. 또한 그는 996년경에 케랄라(체라국)를 점령했으며 북부 실론을 손에 넣었다. 그는 이렇게 해서 얻은 전리품으로 탄조르(탄자부르)에 대(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강가 성스러운 강, 힌두교인들의 정신적 고향
    흐르는 고귀한 삶의 장소이자 생명의 줄기로서 인도의 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인도 신화를 담은 설화집 <바가바타(Bhagavata)>에 등장하는 강가의 기원은 매우 흥미롭다. 태양 왕조 수리야밤샤(Suryavamsha)의 사가르(Sagar) 왕은 말을 자유롭게 풀어 두고 1년 후 신에게 바치는 희생제를 드렸다. 사가르가의 백번째...
  • 띠르따 강가 겐지스 강으로부터의 물, Tirta Gangga
    띠르따 강가는 까랑가셈 왕조의 궁전이었던 곳으로, 물의 궁전으로도 불린다. 띠르따 강가의 의미는 ‘겐지스 강으로부터의 물’이라는 뜻으로 발리인의 힌두교에 대한 믿음에서 유래한다고도 볼 수 있다. 아름다운 정원과 석상, 분수, 물이 흐르는 연못들로 이루어진 이곳은 1948년에 만들어졌으나 1963년 아궁 산 화산...
    위치 :
    공항에서 Jl. Professor Doktor Ida Bagus Mantra 타고 약 75km, 약 2시간 30분 거리
    소재지 :
    The Water Palace, Tirtagangga, Karang Asem
    가격 :
    Rp10,000
  • 힌두왕조시대의 인도건축
    중요한 예이다. 촐라 시대(907~1150경)에는 중앙사원의 탑에 전형적으로 나타나 있듯이 주름꼴 처마가 있는 층계가 반복되어 탑이 높아졌다. 왕조의 중심지 탄자부르와 강가이콘다푸람에 있는 11세기 초기의 대(大)비마나가 그 예이다. 팡디아 시대(1251~1310)의 특색은 고푸라가 발달한 것이다. 돌로 된 낮은 단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조선 朝鮮
    조선왕조 내내 부분적인 변천이 진행되었고, 대한제국 때 일본의 보호국이 된 상태에서 통감부에 의해 전면적인 개편이 이루어졌다. 2.1. 도제와 군현제 지방 통치를 위해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 330여 고을이 소속되었다. 고을은 부(府) · 대도호부(大都護府) · 목(牧) · 도호부 · 군 · 현으로 등급을 구분...
    시대 :
    조선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셀레우코스 왕조의 메소포타미아 지배
    왕조의 심장부를 이루었고 티그리스 강 동쪽 여러 도시를 상대로 하는 교역의 요충지였다. 신흥도시 가운데 가장 중요한 도시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동쪽 수도가 된 티그리스 강가의 셀레우키아였고, 몇몇 지방이나 도시에는 마케도니아 본국에서 딴 이름을 붙였다. 남부 바빌로니아에는 마케도니아 정복 전부터 이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거대한 제국 촐라 왕조
    그 힘을 과시한 것은 라자라자 왕(985~1014년) 때이다.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영토 확장에 힘을 쏟은 라자라자는 벵기의 동찰루키아 왕조, 마두라의 판드야 왕국, 칼링가의 강가 왕국, 케랄라의 체라 왕국 등을 차례로 물리치면서 인도 최남단 지역까지 자신의 영향력을 넓혀나갔다. 라자라자는 또한 해군력을 강화...
    시대 :
    남인도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페르라메수 Per Ramessu
    카이로에서 북동쪽으로 100㎞ 떨어진 북동부 삼각주에 있으며, 고대에는 나일 강의 지류인 부바스티스 강가에 있었다. 고왕국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며, BC 1674년경 힉소스 왕조에 점령당해 아바리스라는 이름으로 그들의 수도가 되었다. BC 1567년경 전승자로 유명한 파라오 아모스에게 약탈당했다. 근처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