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투해파리 Bolinopsis mikado
    생물 분류 감투해파리는 유즐동물문 유촉수강 감투해파리목에 속하는 해파리이다. 일본의 영해에서 주로 발견되며, 아종이 없다. 전체 길이:3~15cm 사는 곳: 수심 600~1,100m 분포: 북태평양 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감투해파리 lobed comb jelly
    바다에 살며 대부분 크기가 작고 연안 부근의 물 표면에 떠다닌다. 감투해파리류는 육식성으로, 작은 수중동물들을 잡아먹는다. 먹이를 먹을 때 사용하는 촉수는 다른 유즐동물의 촉수보다 작고 입을 둘러싸고 있는 2개의 구엽(oral lobe)은 아주 크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감투해파리 Lobata, 兜水母目
    2개의 큰 구부는 촉수의 각 옆에 있고, 성체에서는 업의 간폭관이 위에서 직접 생기고 횡수관은 없어진다. Bathocyroidae 감투빗해파리과 (Bolinopsidae) - 감투해파리 (Bolinopsis rubripunctata) 포함 Eurhamphaeidae ? Kiyohimeidae Lampoctenidae Leucotheidae Lobatolampeidae ? Mnemiidae Ocyropsidae 분류...
    도서 위키백과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대처요령
    동물은 촉수가 발달해 있는 유촉수류와 촉수가 전혀 없는 무촉수류로 나누어져 있다. 유촉수류에는 풍선해파리감투해파리 등이 있고 무촉수류에는 오이해파리가 있다. 해파리 중 숲뿌리해파리와 근구해파리의 갓부분을 식용하는데 갓은 반구 모양의 한천질로 두껍고 단단하며, 지름 1m, 무게 150kg이 되는...
  • 유즐동물 Ctenophora, 有櫛動物
    단수형 ctenophore, comb jelly)은 유즐동물문 동물의 총칭으로 해양 무척추동물들이다. 유즐동물은 해파리류라고도 불린다. 감투해파리, 추억해파리, 풍선해파리, 넓적해파리 등이 알려져 있다. 이름에 '해파리'라는 명칭이 붙어 있지만, 자포동물에 속하는 해파리류와는 다른 그룹이다. 모든 종이 바다에...
    도서 위키백과
  • 유촉수강 有觸手綱, Tentaculata
    2개의 촉수와 구엽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촉수는 가끔 유생단계에만 있고 성체에는 구부가 있다. 거품해파리목·감투해파리목(Lobata)·띠해파리목(Cestida)·넓적해파리목(Platyctenea)으로 나뉜다. → 감투해파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유촉수강 Tentaculata, 触手纲
    해파리목, 감투해파리목, 띠해파리목, 넓적해파리목 등으로 나뉜다. Cyclocoela 캄보드기아목 (Cambojiida) - 유일종 Cambodgia elegantissima 띠해파리목 (Cestida) Cryptolobiferida - 2개 속 Cryptolobata, Lobocrypta Ganeshida - 유일속 Ganesha 감투해파리목 또는 투구해파리목 (Lobata...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