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디스토마 Clonorchisis sinensis정의 간디스토마(간흡충증)는 민물고기를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어서 감염되는 식품 매개성 기생충 질환입니다. 기생충이 우리 몸 안에 들어와 간 담관 안에서 기생하며 증상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주로 강과 호수 주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성인 남성의 감염률이 더 높습니다. 원인 간디스토마의 충체 크기는 8~...
- 분류 :
- 소화기질환
- 발생 부위 :
- 배
- 증상 :
- 간비대, 담도감염, 무증상, 복부 통증, 설사, 소화불량, 황달
- 진료과 :
- 소화기내과
- 관련 질환 :
- 간농양
- 법정전염병 여부 :
- 전염주의
-
Clonorchis sinensis 간흡충 간디스토마, 肝吸蟲중국, 일본, 한국, 대만 및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에 흔한 기생충. 성충은 사람의 담관에 살고 있으며, 수정란이 대변과 함께 밖으로 나와 물 속으로 들어가면 부화하여 미라시듐유충이 되고, 이것이 제1 중간숙주(달팽이)에 먹혀 탈각(脫殼)한다. 그 후 포자유충에서 레디아유충으로 되고 이것이 변태하여 유모유충이 ...
-
-
-
잉어옛날부터 귀하게 여겨왔으며, 오늘날에는 깨끗한 물에서 길러낸 잉어가 회를 비롯한 몇 가지 식품으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일부 인사에 의해서 간디스토마의 우려가 표현되고 있으나, 최근의 기생충학 전문가의 연구에 의하면 간디스토마는 담수어 중 잉어를 제외한 여러 소형어류에 의하여 전파되며, 잉어에는...
- 분류 :
- 잉엇과
- 원산지 :
- 유라시아 온대지방
- 성격 :
- 동물, 물고기, 민물고기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최소 전장 21.6㎝, 최대 전장 122㎝
- 학명 :
- Cyprinus carpio LINNAEUS
- 분야 :
- 과학/동물
-
기생충배변 샘플을 채취해 그 안에 충란(기생충 알)이 있는지 살펴보는 방식으로 연구 ・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 내용을 보면 검출된 기생충 유형은 간흡충(간디스토마)이 전체 77%에 달했다. 간흡충의 주요 감염원이 민물고기임을 고려할 때 섬진강 등 국내 5대강 유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감염이 영향을 준 것으로 연구팀은...
-
담관암 Cholangiocarcinoma있습니다. 원인 담관암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담관 내부를 이루고 있는 담관세포에 생긴 만성적인 염증, 담관 결석,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간흡충증), 염증성 대장 질환, 담관이 선천적으로 확장되어 생긴 담관 낭종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담도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 분류 :
- 소화기질환, 종양혈액질환
- 발생 부위 :
- 배
- 증상 :
- 진한 소변색, 체중감소, 피부소양감, 황달, 회색변
- 진료과 :
- 방사선종양학과, 소화기내과, 외과, 종양내과
- 관련 질환 :
- 담석, 총담관 담석, 궤양성 대장염,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
-
간문부 담관암 Klatskin's tumor양측 간내 담관과 이들이 만나는 부위인 간문부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합니다. 원인 간문부 담관에 생기는 담관암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담석증, 간디스토마(간흡충증), 담관낭, 궤양성 대장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선천성 간섬유증, 만성 장티푸스 보균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인을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경우...
- 분류 :
- 소화기질환, 종양혈액질환
- 발생 부위 :
- 배
- 증상 :
- 빈혈, 식욕부진, 열, 진한 소변색, 체중감소, 피부소양감, 황달, 회색변
- 진료과 :
- 방사선종양학과, 소화기내과, 외과, 종양내과
- 관련 질환 :
- 담석, 총담관 낭, 총담관 담석, 궤양성 대장염,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
-
간내 담석 IHD stone담석은 간 우엽보다 간 좌엽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좌엽의 담도가 우엽의 담도보다 더 길고 예각에 가까워 담즙이 더 잘 정체되기 때문입니다. 간디스토마, 담도 협착 등으로 인해 간 담도에서 결석이 발생하며, 담관염이 반복되면서 결석이 더 많아집니다. 증상 단순한 간내 담석만 있는 경우 담석이 담도를...
- 분류 :
- 소화기질환
- 발생 부위 :
- 배
- 증상 :
- 복부 통증, 소화불량, 악취가 나는 설사, 열, 황달
- 진료과 :
- 소화기내과, 외과
- 관련 질환 :
- 담관암, 간세포성 암종, 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