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디스토마 Clonorchisis sinensis
    정의 간디스토마(간흡충증)는 민물고기를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어서 감염되는 식품 매개성 기생충 질환입니다. 기생충이 우리 몸 안에 들어와 간 담관 안에서 기생하며 증상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주로 강과 호수 주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성인 남성의 감염률이 더 높습니다. 원인 간디스토마의 충체 크기는 8~...
    분류 :
    소화기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간비대, 담도감염, 무증상, 복부 통증, 설사, 소화불량, 황달
    진료과 :
    소화기내과
    관련 질환 :
    간농양
    법정전염병 여부 :
    전염주의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Clonorchis sinensis 간흡충 간디스토마, 肝吸蟲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및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에 흔한 기생충. 성충은 사람의 담관에 살고 있으며, 수정란이 대변과 함께 밖으로 나와 물 속으로 들어가면 부화하여 미라시듐유충이 되고, 이것이 제1 중간숙주(달팽이)에 먹혀 탈각(脫殼)한다. 그 후 포자유충에서 레디아유충으로 되고 이것이 변태하여 유모유충이 ...
  • 간디스토마 간토질, liver fluke
    숙주동물의 간을 침범하는 기생성 편형동물.→ 흡충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간흡충 (관련어 간디스토마) Clonorchis sinensis, 肝吸虫
    생물 분류 간흡충(肝吸蟲, Clonorchis sinensis)은 후고흡충과에 속하는 편형동물이다. 간디스토마(肝distoma)로 많이 알려져 있다. 중국, 일본, 대한민국, 베트남 등 동부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본래 간디스토마로 알려진 이유는 이 생물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입처럼 생긴 기관이 2개가 있어 "입을 2개 가지고...
    도서 위키백과
  • 디스토마 흡충, Distoma
    간디스토마 일본·타이완·인도차이나·중국·필리핀 등 각지에서 발견되며 한국의 낙동강 유역에 큰 유형지가 있다. 외계로 배출된 충란은 제1중간숙주인 담수산 패류(왜우렁) 속에서 부화·발육한 다음 수중으로 나와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참붕어·잉어 등)에 침입하여 생장·변화한 후 어육 내에 피낭유충(被囊幼蟲...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잉어
    옛날부터 귀하게 여겨왔으며, 오늘날에는 깨끗한 물에서 길러낸 잉어가 회를 비롯한 몇 가지 식품으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일부 인사에 의해서 간디스토마의 우려가 표현되고 있으나, 최근의 기생충학 전문가의 연구에 의하면 간디스토마는 담수어 중 잉어를 제외한 여러 소형어류에 의하여 전파되며, 잉어에는...
    분류 :
    잉엇과
    원산지 :
    유라시아 온대지방
    성격 :
    동물, 물고기, 민물고기
    유형 :
    동식물
    크기 :
    최소 전장 21.6㎝, 최대 전장 122㎝
    학명 :
    Cyprinus carpio LINNAEUS
    분야 :
    과학/동물
  • 기생충
    배변 샘플을 채취해 그 안에 충란(기생충 알)이 있는지 살펴보는 방식으로 연구 ・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 내용을 보면 검출된 기생충 유형은 간흡충(간디스토마)이 전체 77%에 달했다. 간흡충의 주요 감염원이 민물고기임을 고려할 때 섬진강 등 국내 5대강 유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감염이 영향을 준 것으로 연구팀은...
  • 담관암 Cholangiocarcinoma
    있습니다. 원인 담관암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담관 내부를 이루고 있는 담관세포에 생긴 만성적인 염증, 담관 결석,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간흡충증), 염증성 대장 질환, 담관이 선천적으로 확장되어 생긴 담관 낭종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담도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분류 :
    소화기질환, 종양혈액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진한 소변색, 체중감소, 피부소양감, 황달, 회색변
    진료과 :
    방사선종양학과, 소화기내과, 외과, 종양내과
    관련 질환 :
    담석, 총담관 담석, 궤양성 대장염,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흡충류 fluke
    일으킬 수 있다. 사람이 숙주일 경우 심한 감염으로 죽을 수도 있다. 사람에게 해로운 면에서 중요한 흡충류로는 가축의 간질(간흡충이라고도 함)과 간디스토마(간흡충이라고도 함) 등이 있다. 간질은 양 및 다른 가축들에게 매우 파괴적인 간충병(肝蟲病)을 일으킨다. 사람은 날채소를 먹음으로써 이 흡충에 감염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신동엽 평산, 申東曄
    1949년 단국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6·25전쟁 때 전시연합대학에 재학중 '국민방위군사건'으로 수용되어 낙향하던 중 훗날 요절의 원인이 된 간디스토마와 폐디스토마에 감염되었다. 1953년 대학 졸업 후 충청남도 주산농업고등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했으며, 1960년에는 교육평론사에 근무했다. 1961년 명성...
    출생 :
    1930. 8. 18, 충남 부여
    사망 :
    1969. 4. 7,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간문부 담관암 Klatskin's tumor
    양측 간내 담관과 이들이 만나는 부위인 간문부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합니다. 원인 간문부 담관에 생기는 담관암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담석증, 간디스토마(간흡충증), 담관낭, 궤양성 대장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선천성 간섬유증, 만성 장티푸스 보균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인을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경우...
    분류 :
    소화기질환, 종양혈액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빈혈, 식욕부진, 열, 진한 소변색, 체중감소, 피부소양감, 황달, 회색변
    진료과 :
    방사선종양학과, 소화기내과, 외과, 종양내과
    관련 질환 :
    담석, 총담관 낭, 총담관 담석, 궤양성 대장염, 경화성 담관염, 간디스토마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간내 담석 IHD stone
    담석은 간 우엽보다 간 좌엽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좌엽의 담도가 우엽의 담도보다 더 길고 예각에 가까워 담즙이 더 잘 정체되기 때문입니다. 간디스토마, 담도 협착 등으로 인해 간 담도에서 결석이 발생하며, 담관염이 반복되면서 결석이 더 많아집니다. 증상 단순한 간내 담석만 있는 경우 담석이 담도를...
    분류 :
    소화기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복부 통증, 소화불량, 악취가 나는 설사, 열, 황달
    진료과 :
    소화기내과, 외과
    관련 질환 :
    담관암, 간세포성 암종, 담석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8건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
간디스토마(liver fluk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