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각섬암상 角閃岩相, amphibolite facies
    주요 변성암상의 하나.|중온 또는 고온(최고 500℃) 및 고압상태에서 생성된다. 더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녹렴석-각섬암상이 만들어지고, 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백립암상이 만들어진다. 각섬암상에서 대표적으로 산출되는 광물로는 각섬석, 투휘석, 녹렴석, 사장석, 알만딘, 그로술라 석류석, 규회석 등이 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녹렴석-각섬암상 綠簾石角閃岩相, epidote-amphibolite facies
    더 낮은 변성조건에서는 녹색편암상으로,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면 각섬암상으로 차차 변해간다. 녹렴석-각섬암상의 전형적인 광물에는 흑운모, 알만딘 석류석, 사장석, 녹렴석, 각섬석이 포함되며 녹니석·백운모·십자석·클로리토이드가 나타날 수도 있다. 쉽게 감별되는 흑운모는 이 상의 하부경계를 알아보는 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각섬암 角閃岩, amphibolite
    함량이 적은 초염기성암이다. 이 암석은 원래 각섬석 외의 광물은 거의 포함하지 않으며, 휘석과 감람석이 변질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변성기원의 각섬암은 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되는 다양한 암석군으로 보다 널리 분포한다. 특징적으로 중간 크기에서 조립질 크기까지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섬석과 사장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각섬암 Amphibolite, 角閃岩
    각섬암(角閃岩)은 주로 보통 각섬석 (hornblende)으로 구성된 암석에 붙는 이름으로, 이 이름은 변성암으로 제한된다. 오늘날 주로 보통각섬석으로 구성된 완정질 심성화성암에는 각섬석암이라는 이름을 붙이는데, 이는 결정들이 집적된 것이다. 90 % 이상이 각섬석이고 기질이 장석인 암석은 황반암(lamprophyre)이다...
    도서 위키백과
  • Amphibolite 각섬암, 角閃岩
    Amphibolite is a metamorphic rock that contains amphibole, especially the species hornblende and actinolite, as well as plagioclase. A holocrystalline plutonic igneous rock composed primarily of hornblende amphibole is called a hornblendite, which is usually a crystal cumulate rock. Rocks with...
  • 변성작용의 유형
    베이슨앤드레인지와 같이 신장단층에 의해 지각의 두께가 얇아지는 지역에서도 노출되어 나타난다.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변성상들은 저압상에 해당하는 불석상·포도석-펨펠리아이트상, 고압상에 해당하는 청색편암상·에클로자이트상, 중-저압상에 해당하는 녹색편암상·각섬암상·그래뉼라이트상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그래뉼라이트 암상 granulite facies
    화강암화작용이 일어난다. 이 층상이 생길 때의 온도는 500~650℃, 압력은 수kbar(1kbar는 15,000 pound/in2)에 이른다. 변성작용이 심하지 않을 때는각섬암상이 형성된다. 그래뉼라이트 암상의 암석에는 각섬석·휘석·흑운모·석류석·칼슘사장석·석영·감람석 같은 광물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변성암처럼, 이 암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단천습곡대 端川褶曲帶
    하부의 성진통(城津統), 중부의 북대천통(北大川統) 및 상부의 남대천통(南大川統)으로 3분되는데 전체적으로 석회암이 우세하다. 성진통은 편마암·편암·각섬암·결정질석회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3,000m 내외이다. 북대천통은 결정질석회암과 편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5,000m 내외이다. 남대천통은 결정질석회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후창층군
    쇄설성퇴적암의 변성물로 넘어가는 현상을 보아 퇴적분지의 해퇴시기를 나타낸다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변성정도를 보면 아래층은 각섬암상, 웃층은 녹색편암상 또는 녹렴석-각섬암상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중강지구 하장동 일대에 있는 후창층군의 백운모편암(후창층군 상부에 해당)에서 백운모를 이용해 K-Ar 법을...
    도서 위키백과
  • 결정편암계 結晶片岩系
    편마암계보다 새로운 것으로 취급되었다. 연천계(1917, 가와사키[川] 명명)는 경기도 연천군에 그 표식지가 있으며, 주로 규암·운모녹니석편암·천매암·각섬암 등으로 되어 있고 드물게 결정질 석회암층을 협재한다. 이들은 곳곳에서 편마암으로 변하여 있다. 연천계는 마천령계와 옥천계보다 변성도가 높아서 가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화성암 火成巖
    저반 등이 발달하고 있다. 옥천대 내에서는 양양­청주­군산의 거대한 화강암 저반, 제천­보은­금산­해남을 따라 산재하는 소규모의 화강암 저반 · 암주 및 각섬암 · 반려암 · 감람석현무암 · 휘록암, 울진­상주­남원을 따라 발달하는 편상화강암(片狀花崗巖) 저반 등이 있다. 영남육괴 내에서는 울진 남부­춘양­거창...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각섬석 角閃石, hornblende
    전하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 각섬석은 변성암과 화성암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보통각섬석은 일반적으로 중간정도의 변성도(變性度)를 갖는 변성암에서 발견되며, 처머카이트와 파가사이트는 알루미늄을 더 많이 포함하는 고변성 변성암에서 나타난다. 각섬석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이러한 변성암들을 각섬암이라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