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무트 gamut
    중세 헥사코드(hexachord) 체계가 포괄하는 전체음역.|넓은 의미로는 특정악기, 사람의 목소리가 낼 수 있는 음높이의 전체영역인 음역을 말한다. 가무트의 원명인 '감마우트'(gamma-ut)는 중세의 수도승 구이도(1050 죽음)가 만든 계명창법을 지칭하는 데 처음 썼던 말로 당시 헥사코드 체계의 맨 아래음인 감마음(ga...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구이도 Guido d'Arezzo
    알파벳 기보법이 사용되었는데, 구이도의 기보법은 'a'부터 'g'까지의 대문자, 큰 소문자, 작은 소문자를 썼고, 헥사코드에 의한 가수들의 가창 가능음역인 가무트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구이도는 이러한 혁신 외에도 4도 병진행에 의한(간혹 다른 진행도 함) 오르가눔에 대해 연구했다. 그의 작품은 논문...
    출생 :
    이탈리아 아레초(?), 990경
    사망 :
    1050경, 아벨라나(?)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헥사코드 hexachord
    겹쳐진 헥사코드를 변환시키는 이러한 과정을 뮤테이션이라고 한다. 변환을 통해 가수는 그가 만나게 되는 어떤 음들의 연속에 대해서도 계명창법 음절들을 적용시킬 수 있게 되며, 이것은 변환점으로서 최상의 조건에 있는 음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음악적인 맥락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 가무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