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마
    토기 및 도자기 등을 구워 내는 시설물.|내용 선사시대에는 가마시설이 없어 노천에 토기를 쌓아놓고 그 주위에 나무를 쌓아 그릇을 구워냈는데, 대략 섭씨 500∼600°의 낮은 온도에서 구웠으므로 산소 공급이 많아져 토기 속의 철분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띠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천요(露天窯)로는 고열을 낼 수가 ...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가마 kiln
    요업 분야에서 높은 열을 내게 하는 시설물.|일반적으로 도자기·기와를 굽는 시설을 말한다. 가마에는 승염식(昇焰式)과 도염식이 있는데, 근대 이전에는 승염식 가마가 중심이었고 현대의 가마는 대부분 도염식이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연질토기는 노천요라고 하는 원시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며 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가마 litter
    이동용 침대 또는 긴 의자.|윗부분이 트인 것도 있고 덮개로 덮인 것도 있다. 양끝에 긴 막대가 달려 있어 사람들이 어깨에 메거나 동물을 이용해 끌어서 움직일 수 있다. 이동용 가마의 기원은 땅 위에서 밀거나 끌고 다닌 썰매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마는 고대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했던 것을 이집트 그림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가마 (José) Basílio da Gama
    브라질의 신고전주의 시인.|브라질의 서사시 〈오 우라과이 O Uraguai〉(1769)의 작가로 이 작품은 우루과이 강 유역에 있는 예수회 관할 인디언 보호지역에 대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원정에 관한 것이다. 가마는 1759년에 예수회에서 수련기간을 마쳤다. 같은 해 이 수도회가 브라질을 비롯한 전 포르투갈령(領)으로...
    출생 :
    1740, 브라질 상조세두리우다스모르테스
    사망 :
    1795. 7. 31, 포르투갈 리스본
    국적 :
    브라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가마
    조그마한 집모양으로 생긴 탈 것.|내용 안에 사람이 들어 앉고, 앞뒤에서 두 사람 또는 네 사람이 밑에 붙은 가마채를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매어 운반한다. 대개 가마뚜껑과 가마바탕 및 가마채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방석이 곁들여진다. 가마의 범주에 드는 것은 연(輦)·덩·가교(駕轎)·사인교(四人轎)·보교(步轎...
    성격 :
    교통수단, 운반수단, 가마
    유형 :
    물품
    재질 :
    채여(采輿), 견여(肩輿)
    용도 :
    교통, 운반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가마 기마(奇麻), 歌麻
    삼국시대 때, 백제에서 일본으로 파견된 사신.|활동사항 생몰년 미상. 기마(奇麻) · 허세가마(許勢哥麻)라고도 한다. 544년(성왕 22) 3월 성왕이 신라에 의해 멸망된 탁기탄(啄己呑 : 지금의 경상북도 慶山으로 비정됨.) · 탁순(卓淳 : 대구로 비정됨.) · 남가라(南加羅 :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로 비정됨.)의 부흥...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hair whorl 모와 가마, 毛渦
    두발이나 체모가 집중되어 있거나 방산성(放散性)의 소용돌이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 두정모와를 흔히 가마라고 한다. 영장목은 일반적으로 2개의 두정모와가 있지만, 사람의 경우는 위치, 방향, 수에 개인차가 있다.
  • 가마 (열) Kiln, 窯
    가마는 막힌 방에 뜨거운 열을 불어넣고 가둘 수 있도록 만들어 숯이나 도자기, 기와, 벽돌 따위를 구워 내는 오븐의 일종을 말한다. 주로 흙을 구워 물건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선사 시대부터 점토로 만든 토우나 기물 등을 높은 온도로 구워 딱딱하고 오래 견딜 수 있게 만들어 썼으며, 처음에는 성형한...
    도서 위키백과
  • 사람마다 머리에 가마가 있는 이유
    피부에 난 털은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자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일정한 경사로 자란다. 털의 경사각은 일정 방향으로 쏠려있는데 머리카락의 이런 쏠림현상을 ‘가마’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의 가마는 오른쪽에 하나가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가마가 생기는 원인은 태아의 자궁 내 위치에서 비롯된다고 ...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인체
  • 가마 Litter (vehicle), 輿
    그 안에 사람을 태우거나 물건을 싣고 앞뒤에서 둘 또는 네 사람이 가마에 연결된 손잡이를 잡거나 멜빵을 걸어메고 옮기는 것이다. 현대에도 동아시아의 관광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마가 운용되고 있다.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속도는 그다지 빠르지 않으며 1명이 탑승하기 위해 2명 이상의 가마꾼이 동원되...
    도서 위키백과
  • 관요 (동의어 가마) 官窯
    국가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를 제작하던 관영 가마.|국가가 원료·시설·인원을 직접 부담하고 생산·관리하기 때문에 생산품은 국가의 소유가 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관요를 의미하는 와기전(또는 도등국)을 두어 도기와 기와[蓋瓦]를 생산했다. 고려시대에 관요의 존재는 명확하지 않으며 도자기를 포함한 수공예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요지 (관련어 가마) 窯址
    도자기와 기와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공장과 가마[窯]를 포함한 생산유적지.|요지의 생산시설에는 제토(製土)를 위한 수비시설(水飛施設 : 수파조·침전조·수비시설), 성형(成形)을 위한 건축물과 도구(물레 등 기타), 번조(燔造)를 위한 가마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된 요지에서 이러한 생산시설이 함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3건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가마
국조오례의 / 가마
국조오례의 / 가마
가마 / 고종
가마((José) Basílio da Gama)
가마를 타고 외출하는 광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