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나가와 조약 미일화친조약, 神奈川條約
    일본이 서구 국가와 맺은 최초의 조약(1854. 3. 31 조인).|미일화친조약 또는 페리 협정이라고도 한다. 일본과 미국의 대표가 가나가와(현재 요코하마 시에 속해 있음)에서 체결했으며 이로써 일본의 쇄국(1639~1854)이 종결되었다. 이 조약은 1853년 7월 미국 동인도 함대 사령관 매튜 페리가 4척의 군함을 이끌고 우...
  • 개국전야
    페리 제독의 강력한 요구에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던 무렵 일본의 형편은 어떠하였던가?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외국세력이 일본에 밀어닥칠 것에 대비하여 쇄국을 계속하느냐, 개항을 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무력으로 개항을 요구하면 쇄국을 고수할 만한 힘이 막부에 없...
  • 미일 화친 조약 (관련어 가나가와조약) Convention of Kanagawa, ..
    미일 화친 조약(美日和親條約, 오늘날 시모다시와 하코다테는 이때 개항했었다. 미국 선박 안전을 보장하라는 페리 함대에 굴복한 일본이 맺은 조약이었으므로 불평등 조약일 수밖에 없었지만, 일본이 200년간 유지했던 쇄국의 문을 열게 된 계기였다. 사실 페리는 막부의 행정관들이 아닌 일본의 수장과 담판 짓겠다는 ...
    도서 위키백과
  • Convention of Kanagawa 가나가와 조약, 日米和親条約
    On March 31, 1854, the or was the first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Empire of Japan, then under the administration of the Tokugawa Shogunate. Signed under threat of force, it effectively meant the end of Japan’s 220-year-old policy of national seclusion (sakoku), by open...
  • 미·일화친조약 美日和親條約, Treaty of Kanagawa
    미국의 대표인 동인도 함대 사령관 매튜 페리(Matthew Perry) 제독의 이름을 따서 페리 협정이라고도 하고, 조약이 이루어진 장소인 가나가와(神奈川)의 이름을 따서 가나가와 조약이라고도 한다. 배경 이 조약이 이루어지기 전 약 250년간의 일본은 1603년 쇼군 도쿠가와 이예야스에 의해 시작된 막부 시대부터 거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해리스 조약 Harris treaty
    서양이 일본을 경제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 조약이다. 초대 일본 주재 미국 영사인 타운센드 해리스가 협상한 이 조약에 따라 가나가와 조약[神奈川條約]의 결과로 1854년에 이미 개항된 항구 이외에 5개 항구를 미국과의 통상을 위해 개항했다. 또한 이 조약은 항구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의 치외법권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가나가와 Kanagawa Prefecture, 神奈川県
    사가미국의 서쪽은 오다와라성의 다이묘가, 동쪽은 에도의 도쿠가와 막부가 직접 통치했다. 1853년과 1854년 매튜 페리 제독이 가나가와에 상륙하여 미국에 일본 항구를 개방하는 가나가와 조약에 서명하였다. 요코하마는 도쿄만에서 가장 큰 심해항으로, 몇 년간의 외압 끝에 1859년 외국 상인들에게 개방되었고...
    도서 위키백과
  • 미일 수호 통상 조약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
    위반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인이 해외로 나가서 주도해야 한다는 데는 동의했다. 도쿠가와 막부 관리 중 일부는 미국과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가나가와에서 맺은 미일 화친 조약에 동의했는데, 그들은 미국의 군사력이 일본을 훨씬 상회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 결과, 1858년 이후 막부는 미국의 요구와 강력한...
    도서 위키백과
  • 요코하마항 Port of Yokohama, 横浜港
    요코하마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도쿄만 연안에 있는 항구이다. 항만 관리자는 요코하마시이며, 1859년 7월 1일에 안세이 5개국 조약에 의해 개항하였다. 금항(金港)이라는 애칭을 가지고있다. 다른 관세법 시행령에서 개항으로 국제 무역항(오대항), 일본 삼대 무역항 등에 포함된다. 동아시아의 대규모 항구에...
    도서 위키백과
  • 해리스 Townsend Harris
    연고를 이용해서 1855년 초대 일본 주재 미국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해리스는 1856년 여름 일본에 도착하여 1854년 일본 정부와 페리 사이에 조인되었던 가나가와 조약[神奈川條約]에 따라서 영사관을 설치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해리스를 반겨주지 않고 오히려 그의 일을 계속 방해하고 나서 결국 시모다...
    출생 :
    1804. 10. 3, 미국 뉴욕 샌디힐
    사망 :
    1878. 2. 25, 뉴욕시티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메이지 유신 明治維新, Meiji Restoration
    수 있다. 19세기 중반에 접어들어 일본의 개국이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면서 미국은 동인도 함대의 매튜 페리 제독을 일본에 보내 개국을 요구했다(→ 가나가와 조약). 페리의 내항으로 구체화된 자본주의 열강에 의한 외압은 정통적·비정치적인 덴노를 정치화시켰으며, 덴포 개혁[天保改革 : 1841~43] 이후 대두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영일수호통상조약 Anglo-Japanese Treaty of Amity an..
    때 ‘에도를 촬영한 최초의 사진’으로 보도된 적이 있었다. (일본 최고의 사진은 일본 사진사를 참조) 에도에 재일 영국 대표부 설치 조약 항구의 설정 (하코다테, 가나가와, 나가사키의 개항, 1859년 7월 1일부터) 1862년 1월 1일부터 영국인의 에도에 거주 허용 에도 서명이 이루어진 1858년 8월 26일, p57일본 국립...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가나가와 조약(神奈川條約) 문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