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구식 구조 架構式構造, post-and-lintel system
    기둥 윗면에 가로질러 수평으로 상인방을 놓는 구조로 모든 건축은 이 체계로부터 나온다. 상인방은 변형되지 않으면서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강철 등으로 긴 상인방을 놓는다. 기둥 역시 고정성을 유지하면서 상인방 무게를 견뎌야 해서 압축에 강한 재료를 쓴다. 부하가 클 때 석재는 목재보다 강하지만, 철·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가구식 구조의 벽
    가구식 구조에서는 하중이 대들보·보 및 다른 여러 수평·수직 부재 등이 이루는 틀에 의해 지지된다. 근대건축에 접어들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나 철골 피복 구조 등을 사용하게 되면서 벽의 구조학상 기능의 중요성은 줄어들고 그밖의 기능인 방음·방풍·방한 등이 중요시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건축 초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壁, wall
    바닥(마루)과 천장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만든 벽(load-bearing wall)이고, 다른 하나는 벽 자체의 하중만 지탱할 수 있게 만든 벽(nonbearing wall)이다. 주로 예전 서양건축의 벽식구조가 전자와 같은 성격의 벽을 가지며, 근대 건축이나 동양 건축의 가구식 구조가 후자의 성격을 띤 벽이다(→ 내력벽, 비내력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
    위하여 높은 석축을 쌓았지만 재료와 구법 등을 달리하여 거대한 메스(Mass)를 분절함으로써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 자연석 석축과 인공을 가한 가구식 석축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불국사 석축은 다양한 석조 기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석난간의 형태와 구조는 목조 건축이 남아있지 않은 신라 건축 연구의...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건축방법
    이같은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표현이 더욱 자유롭고 광범위하며 창조적이 되었다. 구조물에서 하중과 지지의 관계를 가장 간단하게 나타내 주는 것이 가구식 구조이다. 이 구조는 각종 형태의 2개의 수직기둥 위에 수평으로 얹혀진 제3의 부재(인방, 보나 대들보, 서까래)를 떠받치고 있다. 인방은 변형되거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18세기 건축, 그레코-고딕 아이디얼과 새로운 교회 유형
    새로운 건축 방식으로 만들 생각을 한 것은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개념은 이후 19세기 신건축 운동으로 발전하면서 현대건축의 철골-철근 콘크리트 가구식 구조를 탄생시키는 바탕이 된다. 건축가도 아닌 성직자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평소 건축에 관심이 많아서였는데 실제로 드코르드무아의 주장은 페로...
  •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와 인방석을 가구식으로 걸고, 그 가운데를 자연석으로 채운 행태이다. 자하문이나 범영루 앞의 하층 석축은 밑에서부터 거대한 자연석을 쌓고 그 위에 가공석재...있다. 대웅전과 극락전 구역의 서측회랑 하부 석축이 포함되는데, 구조형식을 살펴보면 수직의 석주와 수평의 주두석 및 동자주, 초석, 갑석으로 장방형...
    도서 위키백과
  • 8·15해방 이후 한국 주택
    현상조건을 보면 조선시대의 대가족제도에서 부부 중심의 핵가족제도를 지향하려는 정부의지가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주택은 전통적인 목조가구식 구조에서 벗어나 벽체구조로 시멘트 벽돌과 벽돌 등을 사용했고, 기초는 콘크리트, 지붕은 목조 트러스트에 외기와나 슬레이트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국가기관이나 공공...
  • 삼국시대 한국 주택
    신당서〉 등의 문헌과, 고분벽화 및 출토된 와당과 가형토기 등으로 미루어 상류주택은 기와집이었고, 서민주택은 초가로 그 구조는 기둥과 도리·보를 쓴 목조가구식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구당서〉에 보이는 '장갱'이라는 구절로 미루어 서민주택에는 추위를 막기 위한 온돌난방법이 채택되었음을 알 수...
  • 목조벽
    목조벽 구조가구식 구조 또는 벽식 구조에 둘 다 사용될 수 있고, 외부 또는 내부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 벽들은 전통적으로 토대 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목재판에 의해서 위가 덮여진 샛기둥들로 이루어져 있다. 외벽의 경우, 특히 북쪽 지방에서는 샛기둥사이의 공간의 한부분을 단열재로써 진흙 덩어리나 모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목조건축 木造建築
    유형 목조건축의 구조 유형은 가구식 구조, 귀틀식 구조, 경량 목구조 등이 있다. 가구식 구조는 기둥과 보를 결합해서 건축물의 뼈대를 만드는 구조이다. 목재는 하나의 부재로 각각 기둥과 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구식 구조에 유리한 재료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목조건축은 가구식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가구식...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콘크리트 벽
    콘크리트 패널도 목조벽과 마찬가지로 가구식·벽식의 2가지 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가구식 구조의 벽, 즉 외력을 지탱하지 않고 자체 무게만 견디며, 패널로 되어 있고 건축 구조의 뼈대에 연결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패널들은 프리케스트(precast)되어 표면에 타일까지 붙여 만든 상태로 건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가구식 구조
도 8-32 그리스 가구식 구조와 고딕 볼트 구조 비교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