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트랜스 지방

다른 표기 언어 trans fat

요약 식물성 지방에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랜스 구조를 갖고 있는 불포화지방. 트랜스 구조를 갖고 있는 지방은 혈관에 쌓여 여러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을 높이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화한 지방 자체를 트랜스 지방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몸에 좋지 않은 지방은 트랜스 구조를 갖고 있는 지방을 말한다.

트랜스 지방

ⓒ Jonathan Vasat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랜스 구조를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지방. 불포화지방은 이중 결합이 있는 지방으로, 대부분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포화지방산은 과잉 섭취 시 심장병이나 비만과 같은 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혈관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의 차이는 지방산을 이루는 탄화수소 사슬의 결합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탄화수소 사슬이 단일 결합일 때에는 분자배열이 안정적이어서 녹는 점이 높은 포화지방이 되고, 이중 결합일 때에는 분자배열이 불규칙하여 녹는 점이 낮은 불포화지방이 된다. 포화지방이 주로 동물성 지방에 들어 있어,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식물성 지방은 대개 불포화지방이어서 액체로 존재한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인 불포화지방산은 산패가 쉽게 일어나 저장성이 좋지 못하고 대량 생산 공정의 가공 식품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의 이중 결합에 수소를 강제적으로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변환시킨 경화유를 개발하여 식품 가공에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경화유는 오랫동안 실온에 두어도 상하지 않으며 고체 상태이므로 보관 운송에도 안정하다. 마가린과 쇼트닝은 이렇게 제조된 대표적인 제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화 과정 중에 트랜스 구조를 갖고 있는 불포화지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트랜스 지방이라고 한다.

유해성에 대한 논란

건강과 관련한 일반적인 인식은 불포화지방에 비해 포화지방이 몸에 해롭다는 것이었지만, 불포화지방 가운데 트랜스 지방이 포화지방보다 더 몸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다. 포화지방은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분해와 배출이 가능하지만, 몸의 지방 분해 효소에게 낯선 트랜스 지방은 몸 속에서 잘 분해되지 않고 배출도 어렵기 때문이다. 트랜스 지방은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증가시키고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을 감소시켜서 심장병과 뇌졸중 등 혈관 계통의 질환 발병율을 높이며, 암, 치매, 당뇨병 등의 발병 가능성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연구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2000년대 중반부터 트랜스 지방에 대한 위험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체 열량 섭취에서 트랜스 지방의 섭취 비율을 1% 이내로 줄이라는 권고를 하게 되었고, 한국에서는 하루의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2g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7년부터 가공식품에는 트랜스 지방에 대한 표기가 의무사항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트랜스 지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