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화어록

다른 표기 언어 Hua-yu lu , 畵語綠

요약 중국 청대(淸代:1644~1911/12) 화가인 원제(原濟)의 저서.
(병). Hua yu lu. (웨). Hua y대체이미지 lu.

〈석도화어록 石濤畵語錄〉·〈고과화상화어록 苦瓜和尙畵語錄〉이라고도 한다. 모두 18장(章)으로 되어 있고 산수화의 창작방법과 규율에 대해 전문적으로 논술하고 있다. 저자는 산수화 창작에서 "무법은 유법(有法)을 낳고, 유법으로써 모든 법을 꿰뚫는다"라고 했다. 이것은 당시의 화단이 옛 대가들이 이루어놓은 법칙을 고수해 이에 얽매이려는 경향에 대해 '변화'를 주장한 것이다.

또한 "법은 나로부터 세워진다"(法自我立)라든가, "법이 없으면서도 있어야 바로 지극한 법이다"(無法而法乃爲至法)라는 주장을 폈다. 옛 사람들이 이루어놓은 법칙에 대해서는 "옛 것을 빌려서 오늘을 열어야지, 도리어 옛 법칙 때문에 얽매여서 변화할 줄 모르면 안 된다"라고 주장했다. 산수화와 자연의 관계에 대해 논술하면서, 저자는 "이제 내가 산천에서 태를 벗고 봉우리들을 다 찾아서 초고를 만드니, 산천이 나와 더불어 정신으로 만나 자취로 화하여……"라고 하여 물아가 혼연일체를 이룬, 주관과 객관이 통일된 경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또 산수화의 창작과 직접 관계되는 필묵의 문제 및 산천과 수풀의 형상을 창조하는 구체적인 방법 등에 대해서도 매우 독창적으로 논술하고 있다.

그는 모든 방법과 규율을 총괄하여 '일획론'으로 귀결시키고 있다. 또한 문장서술에서 유(儒)·불·도(道) 3가의 용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글이 예스럽고 심오하며, 추상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워 후세 사람들의 해석이 일치하지 않고 이설(異說)이 많다. 이외에도 필사본 〈화보 畵報〉가 전해지고 있는데 1710년(康熙 49) 호기(胡琪)가 쓴 서문이 들어 있다. 내용은 기본적으로 비슷하지만 어휘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상하이 박물관[上海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화어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