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79. 11. 10, 아일랜드 더블린 |
---|---|
사망 | 1916. 5. 3, 더블린 |
국적 | 아일랜드 |
요약
아일랜드의 민족주의 지도자, 시인, 교육자.
(아일). Pdraic.
부활절 다음날인 1916년 4월 24일 더블린에서 선포된 아일랜드 공화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피어스는 총사령관으로서 같은 날 시작된 반영 봉기에서 아일랜드 군대를 지휘했다. 피어스는 영국인 조각가와 아일랜드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일랜드어를 보존하기 위해 1893년에 창설된 게일어 협회의 회장이 되어, 매주 발간되는 이 단체의 기관지 〈빛나는 검 An Claidheamh Soluis〉을 편집했다(1903~09). 또한 영국의 지배에 대항하는 무기로서 아일랜드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아일랜드의 오래된 필사본과 근대 아일랜드어로 쓰여진 자신의 시집(1914)을 출판했다.
1908년에는 더블린 근방에 2개 언어 병용 교육기관인 세인트엔다대학을 설립해 아일랜드의 전통과 문화에 바탕을 둔 교육을 실시했다.
영국과 아일랜드의 연합을 지지하는 군사조직인 얼스터 의용군에 대항해 1913년 11월 아일랜드 의용군이 결성되자 아일랜드 의용군 임시위원회의 위원이 되어 기관지인 〈아일랜드 의용군 The Irish Volunteer〉에 시와 논설을 기고했다. 1914년 7월 아일랜드 공화국 형제단(Irish Republican Brotherhood/IRB)의 최고회의 위원이 되었다. 피어스는 제1차 세계대전 때 아일랜드 의용군이 분열하자(1914. 9), 좀더 극단적인 민족주의 파벌의 지도자가 되어 영국에 대한 어떠한 전쟁 지원에도 반대했다.
그는 아일랜드를 해방시키려면 순교자의 피가 필요하다고 믿게 되었고, 1915년 8월 신페인 운동에 참여했던 제리마이어 오더노반(일명 오더노반 로사)의 장례식에서 그것을 주제로 유명한 연설을 했다.
피어스는 IRB 최고회의 위원으로서 부활절 봉기(1916. 1) 계획을 도왔다. 부활절 다음날 그는 더블린 중앙체신청 계단에서 아일랜드 공화국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4월 29일 반란이 진압되자 그는 영국에 항복했고, 군법회의에서 재판을 받은 뒤 총살당했다.
피어스는 어느 누구보다도 아일랜드에 공화국의 전통을 확립하는 데 공헌한 인물이었다. 1917~22(3권), 1924년(5권)에 〈작품집 Collected Works〉이 출판되었고, 1952년에는 〈정치적 저술과 연설문 Political Writings and Speeches〉이 나왔다. 루이 N. 르 루의 〈패트릭 피어스의 생애 Vie de Patrice Pearse〉는 D. 라이언에 의해 〈패트릭 H. 피어스 Patrick H. Pearse〉(1932)로 번역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