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2, 황해 수안 |
---|---|
사망 | 1936 |
국적 | 한국 |
요약 독립운동가.
별명은 고이허(高而虛). 배재학교(培材學校) 재학중 항일운동에 참여하고 만주로 건너가 화이더 현[懷德縣] 랴오허 농장[遼河農場]에서 일하면서 김진호(金鎭浩)·변창근 등과 독립운동 방략을 논의했다. 이후 정의부(正義府)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1929년 국민부(國民府)에 참여하여 교육위원장·외무집행위원으로 활약했다.
같은 해 지린[吉林]에서 현익철(玄益哲)·최동오(崔東旿)·이일세(李一世)·이웅(李雄) 등과 함께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을 조직하여 중앙위원·조직부장·선전부장으로 활동했다. 또한 남만한인청년총동맹(南滿韓人靑年總同盟) 중앙간부, 동성조선인농민총동맹(東省朝鮮人農民總同盟) 상무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1932년 1월 이호원(李浩源)·김관웅(金寬雄) 등 조선혁명당 간부 10여 명이 일본경찰과 만주군의 습격으로 체포되자, 중앙집행위원장 대리로서 군대를 맹훈련시키는 한편, 중국의용군 총사령 리춘룬[李春潤]과 합작, 한중연합군을 조직하여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같은 해 8월 양세봉(梁世奉)이 밀정 박창해(朴昌海)의 술책으로 전사한 후 조선혁명당 총사령으로서 전선을 통할 지휘했다. 관동군의 대토벌로 흥경현(興京縣)의 조선혁명당 근거지가 포위당하자 이에 맞서 싸우던 중 체포되었다. 일제의 악독한 고문에 시달리다가 1936년 펑톈[奉天]에서 순국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