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입동

다른 표기 언어 立冬
요약 테이블
유형 개념용어
분야 생활/민속·인류

요약 상강과 소설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11월 7일이나 8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225°이며,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각 마을에서는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집안 곳곳에 놓으며, 이웃은 물론 농사에 힘쓴 소에게도 나누어주면서 1년을 마무리하는 제사를 올린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이날을 기준으로 김장준비를 한다.→ 절기.

개요

24절기 중 19번째 날로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입동은 태양의 황경이 225°인 날로 대개 양력 11월 7~8일 무렵이다. 입동은 특별한 명절은 아니지만, 겨울이 들어서는 날이므로 한 해 농사를 마감하고 겨울 채비를 하며, 김장을 담글 준비를 하기 시작한다. → 절기

유래

'입동'이라는 말은 '겨울(冬)이 들어서다(立)'라는 뜻이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서 입동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는데, 초후(初候)에는 물이 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땅이 얼어붙으며, 말후(末候)에는 꿩이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설명하고 있다.

입동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어서 한국의 기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풍속

이 즈음 단풍도 저물고 낙엽이 떨어지면서 나무들이 헐벗기 시작한다. 예전에는 입동 무렵에 수확한 배추와 무로 김장을 담그곤 했는데, 점차 김장철이 늦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가에서는 입동 전후하여 한 해 농사에 힘쓴 소와 외양간, 곳간에 고사를 지내기도 했는데,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고 소에게도 고사 음식을 먹였으며 이웃간에 정을 나누었다.

전래하는 미풍 양속에는 입동에 어른들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하는 치계미(雉鷄米)라는 풍습도 있었다.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양로잔치였는데, '치계미'라는 말은 꿩, 닭, 쌀을 뜻하며 마을을 다스리는 사또를 대접하기 위해 꿩이나 닭, 쌀을 추렴하여 거두는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른들을 사또와 같이 대접한다는 뜻의 풍속이었다.

입동 무렵의 별미로는 추어탕이 있는데, 추수가 끝난 논 도랑에서 겨울잠을 위해 땅속에 파고들어간 미꾸라지를 잡아 끓인 것으로, 치계미를 낼 만한 사정이 아닌 집에서는 추어탕을 끓여 대접하기도 했다. 충청도에서는 입동을 전후하여 보리싹을 보아 두 개가 보이면 풍년이 든다고 기뻐했고, 제주도에서는 입동에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겨울 바람이 모질다고 여겼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10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11월 무렵에 해당)'에 입동과 소설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시월령
시월은 맹동이라 입동 소설 절기로다
나뭇잎 떨어지고 고니 소리 높이 난다
듣거라 아이들아 농공을 필하여도
남은 일 생각하여 집안 일 마저 하세
무우 배추 캐어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앞냇물에 정히 씻어 염담을 맞게 하소
고추 마늘 생강 파에 젓국지 장아찌라
독 곁에 중도리요 바탕이 항아리라
양지에 가가 짓고 짚에 싸 깊이 묻고
박이무우 아람 말도 얼잖게 간수하소
방고래 구두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 놓고 쥐구멍도 막으리라
수숫대로 덧울하고 외양간도 떼적치고
깍지동 묶어 세고 과동시 쌓아 두소
우리집 부녀들아 겨울 옷 지었느냐
술빚고 떡 하여라 강신날 가까웠다
꿀 꺾어 단자하고 메밀 앗아 국수 하소
소 잡고 돝 잡으니 음식이 풍비하다

들마당에 차일치고 동네 모아 자리 포진
노소 차례 틀릴세라 남녀 분별 각각하소
삼현 한패 얻어오니 화랑이 줄무지라
북치고 피리부니 여민락이 제법이라
이풍헌 김첨지는 잔말 끝에 취도하고
최권농 강약정은 체괄이 춤을 춘다
잔진지 하올 적에 동장님 상좌하여
잔 받고 하는 말씀 자세히 들어보소
어와 오늘 놀음, 이 놀음이 뉘덕인고
천은도 그지없고 국은도 망극하다
다행히 풍년 만나 기한을 면하도다
향약은 못하여도 동헌이야 없을소냐
효제 충신 대강 알아 도리를 잃지마소

사람의 자식 되어 부모 은혜 모를소냐
자식을 길러 보면 그제야 깨달으리
천신만고 길러내어 남혼 여가 필하오면
제각기 몸만 알아 부모 봉양 잊을소냐
기운이 쇠진하면 바라느니 젊은이라
의복 음식 잠자리를 각별히 살펴드려
행여나 병나실까 밤낮으로 잊지 마소
고까우신 마음으로 걱정을 하실 적에
중중거려 대답말고 화기로 풀어내소
들어온 지어미는 남편의 거동 보아
그대로 본을 뜨니 보는 데 조심하소
형제는 한 기운이 두 몸에 나눴으니
귀중하고 사랑함이 부모의 다음이라
간격없이 한통치고 네것내것 계교 마소
남남끼리 모인 동서 틈나서 하는 말을
귀에 담아 듣지 마소 자연히 귀순하리

행신에 먼저 할 일 공순이 제일이라
내 늙은이 공경할 제 남의 어른 다를소냐
말씀을 조심하여 인사를 잃지 마소
하물며 상하분의 존비가 현격하다
내 도리 극진하면 죄책을 아니 보리
임금의 백성 되어 은덕으로 살아가니
거미 같은 우리 백성 무엇으로 갚아 볼까
일년의 환자 신역 그 무엇 많다 할꼬
한전에 필납함이 분의에 마땅하다
하물며 전답 구실 토지로 분등하니
소출을 생각하면 십일세도 못 되나니
그러나 못 먹으면 재 줄여 탕감하리
이런 일 자세 알면 왕세를 거납하랴

한 동네 몇 홋수에 각성이 거생하여
신의를 아니하면 화복은 어이할꼬
혼인 대사 부조하고 상장 우환 보살피며
수화도적 구원하고 유무상대 서로 하여
남보다 요부한 이 용심 내어 시비 말고
그 중에 환과고독 자별히 구휼하소
제각각 정한 분복 억지로 못하나니
자네를 헤어보아 내 말을 잊지 마소
이대로 하여가면 잡생각 아니 나리
주색잡기 하는 사람 초두부터 그리할까
우연히 그릇 들어 한번하고 두번하면
마음이 방탕하여 그칠 줄 모르나니
자녀들 조심하여 작은 허물 짓지 마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김장 담그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입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