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라공

다른 표기 언어 Louis Aragon
요약 테이블
출생 1897. 10. 3, 프랑스 파리
사망 1982. 12. 24,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초현실주의를 주도한 시인·소설가·평론가.

공산주의를 대변한 정치행동가이기도 하다. 초현실주의 시인 앙드레 브르통의 소개로 다다이즘 운동에 합류한 아라공은 필리프 수포 등과 함께 초현실주의 평론지 〈리테라튀르 Littérature〉(1919)를 창간했다. 아라공은 〈환희의 불길 Feu de joie〉(1920)·〈영원한 운동 Mouvement perpétuel〉(1925) 등 초기에 시를 발표한 데 이어, 〈파리의 농부 Le Paysan de Paris〉(1926)라는 장편소설을 썼다.

이데올로기를 추구한 끝에 1927년 공산당에 입당했는데, 그후로 그는 공산당의 문학과 예술적 표현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와 공산당을 항상 연관시키게 되었다. 1928년에 그는 러시아 태생의 엘자 트리올레트(러시아 태생의 시인 마야코프스키의 처제)를 만나 결혼했고, 아내로부터 끊임없는 영감을 얻었다(엘자는 1970년에 죽었음). 1930년에 그는 소련을 방문했고, 1933년에는 그의 정치참여 때문에 초현실주의자들과 결별했다. 전4권으로 이루어진 연작 장편소설 〈현실세계 Le Monde réel〉(1933~44)에서는 사회혁명을 향해 나아가는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을 역사적 관점에서 묘사하고 있다. 전6권으로 이루어진 또다른 장편소설 〈공산주의자들 Les Communistes〉(1949~51)에서도 전통적인 사회적 사실주의를 계속 고수했는데, 이 소설은 1939~40년에 걸친 공산당의 황량한 연대기이다. 그후에 쓴 소설 〈성스러운 주일 La Semaine sainte〉(1958)·〈임종 La Mise à Mort〉(1965)·〈흰색 또는 망각 Blanche ou l'oubli〉(1967)은 공산당을 위한 변명들로 엮어진 자서전이 되었다. 이 소설들은 당시의 새로운 소설기법을 반영하고 있다. 〈단장(斷章) Le Crève-Coeur〉(1941)·〈프랑스의 기상나팔 Diane fran이미지aise〉(1945)에 실린 시들은 아라공의 열렬한 애국심을 표현하고 있으며, 〈엘자의 눈 Les Yeux d'Elsa〉(1942)·〈엘자만의 파리 Il n'est Paris que d'Elsa〉(1964)에 실린 시들은 아내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그는 아내의 얼굴에서 프랑스의 얼굴을 보았다. 1953~72년에 아라공은 공산당에서 매주 발간하는 예술·문학 잡지인 〈레트르 프랑세즈 Les Lettres Fran이미지aises〉를 편집했다. 71세의 나이에도 여전히 전투적이었던 아라공은 1968년 파리 시내에서 벌어진 학생들의 거리시위에 동참했다. 그는 1981년에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라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