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병인양요

다른 표기 언어 丙寅洋擾

요약 1866년 프랑스 해군이 강화도 일대에 침입한 사건. 1866년 10월과 11월에 걸친 정찰과 침략으로 강화도를 점령했던 프랑스군이 정족산성 전투에서 조선군에게 패하여 12월 17일 철수하면서 종료되었다. 이 사건은 표면적으로는 쇄국정책을 펼치던 대원군이 프랑스 신부를 처형한 것에 대한 보복이었으나, 본질적으로는 무력으로 조선의 문호를 열고 통상조약을 맺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후 대원군의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병인양요(丙寅洋擾)

프랑스의 함대가 불타고 있는 병인양요 사건을 그린 그림

ⓒ Ryuch/wikipedia | Public Domain

1866년 프랑스군이 조선 강화도에 침입한 사건.

배경

1866년 1월초 대원군은 쇄국양이 정책의 하나로 천주교 금압령을 내리고, 9명의 프랑스 신부와 수천 명의 조선인 천주교도를 처형했다. 이때 탄압을 피하여 탈출했던 3명의 프랑스 신부 가운데 리델이 7월 청나라의 톈진[天津]으로 탈출해 프랑스의 극동 함대 사령관 로즈에게 천주교 탄압 사실을 알리고 이에 대한 보복을 요구했다. 이 사건은 1846, 1847년 2차례 조선을 침략했다가 실패했던 프랑스에게 좋은 구실이 되었는데, 프랑스의 실제 속셈은 무력으로 조선의 문호를 개방하고 불평등한 통상조약을 맺는 데 있었다.

전개

리델의 보고와 보복요청을 받은 주중 공사 벨로네는 "조선 국왕이 우리 불행한 동포에게 박해를 가한 그날은 조선 왕조의 최후의 날이다"라고 단언하면서 로즈 제독에게 조선 침략을 명령했다. 로즈는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한 서울까지의 뱃길을 탐사할 목적으로 3척의 군함을 이끌고 제1차 원정을 단행했다. 로즈의 군함은 1866년 10월 19일(음력 9월 11일) 인천 앞바다에 도착, 지형 정찰을 시작하여 26일(음력 9월 18일)에는 서울 양화진·서강까지 올라와 수로탐사를 한 뒤 물러갔다. 이에 조선 정부는 황해도와 한강 연안의 포대를 강화하고 의용군을 모집하는 등 프랑스의 침략에 대한 해안 방어대책을 강화했다.

같은 해 11월 17일(음력 10월 11일) 로즈는 전함 3척, 포함 4척, 병사 1,000여 명을 동원하여 조선을 침략해왔다. 이때 길잡이는 리델과 조선인 천주교도 3명이었다. 프랑스군은 20일(음력 10월 14일) 강화를 점령하고 서울에 이르는 주요보급로를 차단하여 조선 정부를 궁지에 몰아 항복을 받을 속셈으로 한강을 봉쇄했다. 강화를 점령한 로즈는 조선이 프랑스 선교사 9명을 학살했으니 조선인을 죽이겠다고 하면서 속히 관리를 자신에게 보내 통상조약을 맺게 하라고 조선 정부를 협박했다. 한편 조선 정부는 순무영을 설치하고, 이경하·이용희·양헌수를 각각 대장·중군·천총에 임명하여 강화 수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12월 2일(음력 10월 26일) 문수산성 전투에서 신식 무기와 화력에서 우세한 프랑스군에게 다시 패한 조선군은 우세한 프랑스군의 화력을 이겨내고 강화도를 수복하는 데에는 기습작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12월 13일 (음력 11월 7일) 밤 양헌수가 549명의 군사를 이끌고 강화해협을 몰래 건너 정족산성에 들어가 잠복하여 15일 (음력 11월 9일) 정족산성을 공격해오는 프랑스군을 물리쳤다. 프랑스군은 전사 6명을 포함하여 60~70명의 사상자가 났으나, 조선군은 전사 1명, 부상자 4명뿐이었다.

결과와 영향

조선군의 정족산성 승리는 프랑스군을 물러나게 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군은 1개월이 넘는 원정에 따른 병사들의 피로, 정족산성의 패배에 따른 사기 저하 등으로 12월 17일(음력 11월 11일) 강화도에서 철수했는데, 이때 대량의 서적·무기·금은괴 등을 약탈해갔다. 이 사건은 이후 프랑스의 의도와 달리 쇄국정책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피에르 구스타프 로즈(Pierre-Gustave Roze)

프랑스의 해군 제독. 병인양요 때 조선 공격을 지휘한 인물

ⓒ World Imaging/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제너럴 셔먼 호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병인양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