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백용성

다른 표기 언어 白龍城 동의어 진종, 震鍾, 상규, 相蜜, 용성, 龍城, 백상규, 白相奎
요약 테이블
출생 1864(고종 1), 전북 남원
사망 1940
국적 한국

요약 백용성은 3.1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며, 대각사를 창건하고 대각교를 창설하여 대사회적 실천운동인 대각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1879년 16세 되던 해에 해인사로 출가하여 화월화상을 은사로, 상허혜조율사로부터 계를 받아 승려가 되었다. 1910년 한일합병을 계기로 이제까지의 수행과 참선을 중심으로 한 삶에서 사바세계의 현실로 눈을 돌렸다. 1919년 한용운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에 불교 대표로 참가했다가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1921년 출옥과 더불어 우리 민족이 불법에 귀의하여 민족의 위기상황을 극복해야 한다고 제창하면서 대각사를 창건하고 대각교를 창설했다. 대각이란 모든 중생이 갖고 있는 근본심성인 불성을 자기 스스로 깨치고 또 다른 사람을 깨우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백용성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이며 대각교를 창시했다. 본관은 수원. 속명은 상규, 법명은 진종, 법호는 용성이다. 아버지는 남현이며 어머니는 밀양손씨이다.

1879년(고종 16) 16세 되던 해에 해인사로 출가하여 화월화상을 은사로, 상허혜조율사를 수계사로 삼아 승려가 되었다. 1884년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선곡율사로부터 비구 및 보살계를 받고 칠불암 대은율사의 맥을 이었다. 그뒤 지리산 금강대와 송광사 삼일암에서 수도했다.

1910년 한일합병을 계기로 이제까지의 수행과 참선을 중심으로 한 삶에서 사바세계의 현실로 눈을 돌렸다. 이해에 〈귀원정종 歸源正宗〉을 저술하여 그리스도교의 불교비방을 비판했다. 1911년에는 참선만일결사회를 하동 칠불사에서 발족하여 도봉산 망월사, 천성산 내원사 등에서 중생을 교화했다. 또한 1919년 한용운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에 불교 대표로 참가, 앞장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 6개월을 복역했다.

1921년 출옥과 더불어 우리 민족이 불법에 귀의하여 민족의 위기상황을 극복해야 한다고 제창하면서 대각사를 창건하고 대각교를 창설했다. 대각사상은 심 이외의 것은 모두 부인하고 불과 진심과 아를 일체로 보며, 이 진심에 의하여 천지만법이 창조된다는 사상이다. 대각의 근원은 여래장으로, 대각이란 모든 중생이 갖고 있는 근본심성인 불성을 자기 스스로 깨치고 또 다른 사람을 깨우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상에 입각하여 대사회적 실천운동인 대각운동을 전개했다. 우선 그는 삼장역회를 조직하여 〈심조만유론 心造萬有論〉·〈각해일륜 覺海日輪〉 등 30여 종을 저술하고, 대각사에서 〈화엄경〉·〈원각금강경 圓覺金剛經〉 등 30여 종의 경전을 번역했다. 우리말, 우리글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었던 시기의 이러한 번역작업은 항일운동의 일환이었다.

선종 포교당을 건립하여 포교에 힘썼는데, 이때부터 '참선'이라는 말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또 불교의식을 한글화하여 포교의 대중화와 현대화를 꾀했다. 한편 교단의 청정을 주장했으며 1926년 사이토[齋藤實] 총독에게 2차에 걸친 건백서를 127명의 승려 연서로 제출하여 일제의 불교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 사원경제의 자립화를 위해 선농병행설을 주창하여 함양 백운산과 북간도에 농장을 만들기도 했다.

1925년 대각사에서 글을 보다가 왼쪽 이 사이에서 자흑색의 사리 일립이 나왔는데 그 사리탑이 현재 해인사 용탑전에 있다. 1940년 2월에 대각사에서 77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백용성


[Daum백과] 백용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