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메기도는 이스라엘 북부 하이파에서 남동쪽으로 약 29㎞ 떨어져 에스드라엘론 평야를 내려다보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를 잇는 무역로의 요충지였으며, 북서-남동 방향으로 난 교통로에 있어서 페니키아의 여러 도시들과 예루살렘, 요르단 강 유역까지 연결되었다. 유적 발굴을 통해 BC 4000~3000년 초기 이곳에 처음으로 도시가 세워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메기도는 BC 1468년경 이집트의 왕 투트모세 3세에게 점령되었다가 그 지역에 있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이스라엘인들에게 넘어갔다. 돌기둥에는 이집트의 왕이었던 셰숑크 1세가 메기도를 점령했다는 기록이 새겨져 있다. 메기도는 제1차 세계대전 후반 터키군이 중동지역에서 마지막으로 항복하게 된 전투였던 ‘메기도 전투’를 통해 유명해졌다.
성서에서는 '므깃도'라고 한다. 메기도는 이스라엘 북부 하이파에서 남동쪽으로 약 29㎞ 떨어져 에스드라엘론 평야(예즈렐 골짜기)를 내려다보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를 잇는 무역로의 요충지였으며 한편으로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난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어서 페니키아의 여러 도시들과 예루살렘, 요르단 강 유역까지를 연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군사·무역 면에서 중요한 2개의 도로가 교차하는 전략적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규모에 비해 훨씬 중요하게 여겨졌던 곳이다. 아마겟돈(Armageddon)이라는 말도 메기도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접두사 'har'는 히브리어로 '언덕'을 가리키며, 따라서 아마겟돈은 '메기도 언덕'을 뜻하는 말이 된다.
독일 동양학회의 고고학자들이 1903~05년, 시카고 대학교 동양연구소의 고고학자들이 1925~39년 유적을 발굴한 결과 BC 4000~3000년 초기 이곳에 처음으로 도시가 세워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메기도는 BC 1468년경에 이집트의 왕 투트모세 3세에게 점령되었다가 결국은 그 지역에 있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이스라엘인들에게 넘어갔고, 솔로몬 왕을 통해 군사 중심지로 재건되었다.
메기도에서 발굴된 마구간의 상당수가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마구간은 어림잡아 450마리의 말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솔로몬의 전차대와 말 교역이 어느 정도 규모였는지를 보여준다. 훼손된 돌기둥에는 셰숑크 1세가 메기도를 점령했다는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그는 BC 935년경에 이집트의 왕이 된 인물이다. 유다의 아하지야 왕이 메기도에서 BC 842년경에 죽었고 BC 609년에는 요시야 왕이 이집트의 왕 느고 2세가 아시리아를 향해 진군하는 것을 막다가 전사하기도 했다. 페니키아의 상아제품이 거의 400개나 발견되어 이곳이 중동 여러 문명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메기도는 영국인 장군으로 제1차 세계대전 후반에 팔레스타인에서 영국군을 지휘한 에드먼드 앨런비가 승리로 이끌었던 중요한 전투를 통해 유명해지게 되었다. 1918년 9월 앨런비의 보병대는 해안평야에서 터키 제7·8군을 패배시켰고, 메기도에서 가까운 여러 지점에서 대기하고 있던 기병대는 그 북쪽 퇴로를 차단함으로써 이들을 완전히 궁지에 빠뜨렸다. 앨런비의 치밀한 작전으로 터키군이 중동지역에서 마지막으로 항복하게 된 전투가 바로 이 '메기도' 전투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