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이코플라스마

다른 표기 언어 mycoplasma

요약 마이코플라스마속에 속하는 100여 종의 세균. 세균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로, 세포벽이 없어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많은 종들이 식물이나 동물에 기생한다. 기생하는 식물이나 동물, 인간에게 감염증을 일으키는 종이 있는데, 소의 늑막폐렴을 일으키는 소폐역균은 오래전부터 알려져왔다. 여러 종이 식물에서 국화황화병, 옥수수위측병 등을 일으키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은 인간에게서 마이코플라스마균 감염증을 일으킨다.

정의

마이코플라스마속(一屬 Mycoplasma)에 속하는 세균을 두루 부르는 명칭. 마이코플라스마속에는 약 100여 종(種)이 있다. 소의 늑막폐렴과 같은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PPLO, pneumonia-like organism)들을 일반적으로 마이코플라스마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이크플라스마 폐렴균

인간에게서 급성 호흡기 감염증을 일으키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A는 1만 배로 확대한 것이며, B는 3만 6천배로 확대한 것으로, 섬모가 있는 점막 세포에 부착된 플라스크 모양을 이루고 있다(화살표 끝)

ⓒ 위키미디어 커먼스 | CC BY-NC-ND

형태

마이코플라스마는 세균 중 크기가 가장 적은데 어떤 종은 지름이 0.2㎛(마이크로미터:1㎛=10-6m)보다 작은 시기도 있다. 세포의 형태는 한 종 내에서도 매우 다양하고 불규칙하다. 세포의 형태를 규정하는 것이 세포벽이 아니라 세포막이어서 모양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이다.

생태

마이코플라스마속의 많은 종들은 반추동물, 육식동물(보통 애완견), 설치류나 사람의 순환기관·생식기관·소화기관 등에서 발견되며 몇 종은 그런 기관을 감염시켜 병을 일으킨다. 감염병의 증상을 보이는 것은 대부분 조류나 포유류이며, 사람도 가끔 감염된다. 몇 종은 식물의 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물 속에서 독립개체로 생활하는 종도 있다.

관련 질병

예전에는 점차 증가하는 식물의 병들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스마와 닮은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다고 생각하고, 그러한 병원체를 '마이코플라스마형 박테리아'(MLO, mycoplasma-like organisms, MLB,mycoplasma-like bodies)라 부른다. 식물의 병으로는 국화황화병·옥수수위측병·느릅나무사관부괴사증·뽕나무오갈병·폐쇠약병 등이 있다.

소폐역균(M. mycoides)은 소의 늑막폐렴을 일으키는 종으로, 대부분의 다른 종보다 오래전부터 알려졌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 pneumoniae)은 인간에게서 마이코플라스마균 감염증을 일으킨다. 마이코플라스마균 감염증은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주요 임상증상은 발열, 오한, 두통, 인후통, 이통, 근육통과 함께 권태감, 기침 을 유발하는 인두염 등의 상기도감염, 기관지염, 폐렴 등의 하기도감염 등이다. 한국에서는 질병관리청의 4급 급성 호흡기감염증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생물

미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마이코플라스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