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네그리튀드

다른 표기 언어 Negritude

요약 1930~50년대에 파리에 살던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출신의 작가들이 프랑스의 식민통치와 동화정책에 저항하여 일으킨 문학운동.

그 주도적 인물은 1960년 세네갈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로서, 그는 마르티니크 출신의 에메 세제르, 프랑스령 기아나 출신의 레옹 다마스와 함께 서구의 가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아프리카 문화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프랑스의 동화정책이 이론적으로는 인간평등의 신념에 근거를 두지만 아프리카 문화보다 유럽 문명이 우월하며 심지어 아프리카에는 역사와 문화가 없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여기에 반박했다. 세계대전에서 동포들이 자신들과 상관없는 명분을 위해 죽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쟁터에서 종처럼 취급받는 것을 보고 분노했으며, 역사연구를 통해 흑인들이 처음에는 노예제도로, 다음에는 식민통치로 고통과 굴욕을 받고 있다는 것을 차츰 깨닫게 되었다. 이런 견해가 네그리튀드의 여러 기본사상을 형성하게 해준 요인이 되었다.

즉 자연과의 친근함 및 조상과의 부단한 접촉에서 비롯되는 아프리카인의 삶의 신비로움과 포근함은 서구문화의 영혼부재, 물질주의에 맞서 올바른 관점에서 자리를 찾아야 하며, 아프리카인들은 현대사회에서 어떤 가치와 전통이 가장 유익한가를 선택하기 위해 그들 자신의 풍요로운 과거와 문화유산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사상이 나왔다. 또한 사회참여 작가들은 글을 쓸 때 아프리카의 문제와 시적 전통을 다루어야 할 뿐 아니라, 아프리카인들이 정치적 자유를 갈망하도록 고무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네그리튀드라는 개념은 아프리카의 문화적·경제적·사회적·정치적 가치들을 모두 포괄하며, 무엇보다도 아프리카 전통과 민족의 가치 및 존엄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보았다.

상고르의 시에는 이런 주제가 모두 드러나 있으며, 그는 다른 여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세네갈 출신의 비라고 디오프의 시는 아프리카 삶의 신비를 다루었고, 다비드 디오프는 혁명적 저항시를 썼다. 또 자크 라베마난자라는 마다가스카르의 역사와 문화를 예찬하는 시와 희곡을 썼으며, 카메룬의 몽고 베티와 페르디난드 오요노는 반식민주의 소설을 썼고, 콩고의 시인 치카야 위 탐시는 매우 개인적인 시를 쓰면서도 아프리카 민족의 고통을 다루었다.

그러나 1960년대초부터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서 이 운동의 정치적·문화적 목표가 이루어지자 네그리튀드를 주제로 한 작품은 많이 줄었으며, 서아프리카 문학운동의 중심지도 세네갈에서 나이지리아로 옮겨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네그리튀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