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구제역

다른 표기 언어 foot-and-mouth disease , 口蹄疫 동의어 입발굽병, 입발병

요약 소·양·돼지 등 거의 모든 우제류에 발생하는 전염병. 혀·잇몸·입술과 그밖에 유방이나 유두, 갈라진 발굽 사이 등에 통증이 심한 물집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악성 구제역의 치사율은 50%에 이른다. 유럽·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등에서 발생하는 풍토병이다. 감염 농장이나 지역은 몇 달 동안 격리·방치해야 한다.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완전하지 않으며, 아직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없다. 한국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구제역 (foot-and-mouth disease)

2017년 2월 17일. 구제역 때문에 문 닫은 대관령 양떼목장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소·양·염소·돼지 등 거의 모든 우제류(偶蹄類)에게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럽·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풍토병이다. 아메리카 들소, 사슴, 영양, 순록, 라마, 낙타, 기린, 코끼리 등과 같은 야생 초식동물도 이 병에 걸릴 수 있으나, 말은 감염되지 않는다. 혀·잇몸·입술과 그밖에 피부가 얇은 유방이나 유두, 갈라진 발굽 사이, 발굽 위 관상대(冠狀帶 coronary band) 주위 등에 통증이 심한 물집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병인체

구제역은 피코나비리다에 아프토바이러스(Picornaviridae Aphthovirus)라는 작은 RNA 바이러스로, A, O, C, Asia1, SAT1, SAT2, SAT3이라는 7개의 혈청형으로 구분되는데, 이 혈청형은 다시 80여 가지의 아형으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O형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은 온도, 습도, 산도 및 자외선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통상 물에서는 최대 50일, 흙‧마대‧건초 등에서는 환경조건에 따라서 26~200일이다. 혈액 등으로 오염된 나무나 금속 등에서는 최대 35일까지 생존한 기록이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저온에서는 오래 생존하는 특성이 있어 특히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

구제역 바이러스는 면역학적으로 7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종류가 침입하는 동물도 다르고 병증도 차이가 난다. 호흡기와 소화기를 통해서 전염되며, 처음 침입한 곳에 일차적으로 물집을 형성한다. 24~48시간 안에 혈액 속으로 침투하여 열이 나게 하는데, 이 단계는 24~36시간 정도 지속되며, 이때 바이러스는 침이나 젖·소변·대변 등으로 배출된다. 그뒤 입술로 입맛을 다시는 듯한 독특한 행동을 하며 혀·잇몸·입술 등에 물집이 생긴다. 물집은 약 24시간 뒤에 터져서 껍질이 벗겨지며 매우 쓰라리고, 1~2주 정도 지나 아물 때까지 단단한 먹이를 먹을 수 없다. 물집이 발에 생기면 다리를 절뚝거리게 된다. 잠복기는 약 2일~2주일이다.

소의 특징적 증상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에서는 체온상승, 식욕부진, 침울, 우유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등이 나타난다.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침을 심하게 흘리고, 혀와 잇몸 등에 물집이 생긴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물집은 발굽의 사이와 제관부, 젖꼭지 등에서도 관찰되는데 곧 터져서 피부가 드러나고 짓무르고 헐게 된다.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6개월 미만의 송아지에는 심근염에 의해 죽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심근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병변을 호반심(tiger heart) 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환율은 높고 폐사율은 낮은 편이나 어린 송아지의 경우 성우에 비하여 폐사율이 높으며 임신우에서는 유산을 초래하기도 한다. 감염된 소들은 1주 이상 거의 먹지 못하고 절뚝거리며, 유방염이 발생하여 산유량이 줄어든다. 특히 젖소에서는 착유량이 50% 정도 감소한다.

돼지의 특징적 증상

돼지는 감염될 경우 다리를 절거나 잘 서 있지 못하고 잘 움직이지 않으며, 먹이 활동도 부진하다. 콧등, 혀, 유두, 발굽과 피부가 접하는 부위 등에 물집이 생기기도 하며, 물집이 터져 피부가 벗겨진 자리에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발굽이 빠지기도 한다. 입 주변의 물집 형성은 소의 경우처럼 전형적이지는 않으나, 콧잔등에는 큰 물집이 형성되며 쉽게 터지는 경우가 있다. 어미 돼지가 감염될 경우 젖을 먹는 새끼 돼지의 폐사율이 높다.

양과 염소의 특징적 증상

양은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며, 바이러스 종류, 양의 품종,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양의 초기 임상증상은 식욕부진, 발열, 심한 파행 및 어린 양의 갑작스런 폐사로 나타난다. 어린 양은 다발성 심근염으로 치사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젖을 내는 양은 유두와 발굽 등에 수포가 발생하며 유량이 감소한다. 입술 안쪽에 수포가 발생하면서 혀와 입 안쪽에 작고 희게 변색된 부위가 형성된다. 염소는 양보다 증상이 덜 심하지만, 2차 감염이 있을 때에는 무릎이 떨리는 증상을 보인다.

피해

구제역에 의한 피해는 엄청나다. 보통 경미한 동물유행병의 치사율은 5% 정도이나 악성 구제역은 치사율이 50%이다. 살아남은 동물도 먹지 못해서 몸무게가 줄고 젖을 생산해내는 동물의 경우는 젖의 양도 엄청나게 줄어든다. 유산이 잘 되고 유방염이 흔히 생기며 2차 감염도 잘 된다.

예방과 치료

구제역 바이러스는 공기·음식물·음식찌꺼기 속에서는 물론, 동물의 가죽·털·양털 등에서도 꽤 오랫동안 살아남기 때문에 이 질병을 막기 위해서는 그만큼 더 주의해야 한다. 이 병이 돌면 그 지역을 검역한 후에 감염되었거나 의심스러운 동물은 모두 도살한 다음 태워 버려야 한다. 그밖에 오염된 물건은 깨끗이 소독하고, 감염되었던 농장이나 지역은 몇 달 동안 그대로 격리·방치한다.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로 구제역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으나 구제역이 혈청형에 따라 변종이 많으며, 변종 사이에서는 백신이 면역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백신으로 형성된 면역력의 유지 기간도 짧아 완전한 예방책이 되고 있지 않다. 아메리카 지역의 경우 엄격하게 검역하고 감염된 동물을 신속히 태워 버린 덕분에 1929년 미국에서 크게 유행한 뒤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이 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직 없다.

한국의 구제역

한국의 경우 1934년 마지막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2000년 봄에 경기도 파주와 충청남도 홍성 등지에서 발생해 젖소 2천여 마리를 살처분하고 돼지고기의 수출이 중단되는 등 축산농가에 큰 피해를 안겨주었다. 한국과 함께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분류되었던 일본에서도 같은 시기에 구제역이 발생했다. 2001년 구제역 청정국으로 복귀되었으나 2002년 5월 경기도 안성·용인 등지와 충청북도 진천에서 소와 돼지의 구제역이 발생하여 16만 여 마리를 살처분하는등 큰 피해를 입었다.

2002년 11월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으나 2010년 1월 경기도 포천·연천 지역에서 소 구제역이 발생, 약 6천 마리를 살처분했고, 4월에는 인천시 강화, 경기도 김포, 충청남도 청양, 충청북도 충주에서 소와 돼지의 구제역이 발생 약 5천 마리를 살처분했다. 11월에는 경상북도 안동·예천·영양, 경기도 양주·연천·파주, 강원도 춘천· 홍천·횡성·양양·화천·원주, 경기도 가평·여주 등지에서 발생하였으며 2011년까지 계속되어 5개월 동안 약 348만 마리의 소와 돼지를 살처분하는 최대의 피해를 기록했다.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188건이 발생한 이후에는 매년 구제역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1월에 전북 김제에서 돼지의 구제역이 발생하여 약 1천 마리를 살처분했고, 3월에는 충청남도 홍성에서 소의 구제역이 발생하는 등 21건이 발생했다. 이어 2017년 2월 충청북도 보은과 전라북도 정읍, 경기도 연천에서 연이어 구제역이 발생, 600여 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9건이 발생했다. 2018년에는 김포 돼지 농가에서 발생했으나 2건 정도에 그치면서 4월 말에 구제역 이동제한조치가 해제되었다. 2019년 1월 28일 경기도 안성의 젖소 농장에서 첫 구제역이 발생하여 120마리를 살처분했다.

2023년 5월 11일 충청북도 청주의 한우 농장 2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19일까지 청주에서 9건, 충청북도 증평군에서 2건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구제역 발생·인근 지역 9개 시군(충북 청주·증평·보은·괴산·진천·음성, 충남 천안, 대전, 세종)의 위기단계를 주의에서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조류 인플루엔자(AI) 변종 바이러스인 H5N1의 사진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구제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