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작은 조약돌 등으로 노는 아이들 놀이의 하나.
공기줍기·공깃돌놀이·공기잡기라고도 한다. 조알채기, 조아질(평북지방) 또는 짜구받기(경상도)라고도 부르나, 공기놀이란 이름이 가장 널리 쓰인다. 종목과 놀이방법도 여러 가지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우리나라 아이들이 둥근 돌알을 가지고 노는 놀이가 있어 공기라고 한다. 둥근 돌알을 공중에 던져 손바닥으로 받고 이미 받은 것을 솥발 형태로 만드는 것을 솥발공기라고 한다"고 전해진다.
공기의 기원에 대하여는 문헌상으로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것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에 있었던 놀이로 생각된다.
공기놀이의 방법은 무려 100가지 정도 되지만 대체로 놀이에 사용하는 공깃돌의 수량을 기준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네 알 또는 다섯 알의 공깃돌을 가지고 여러 가지 손재주를 부리면서 내기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많은 수의 공깃돌을 가지고 따먹기를 하는 것이다. 네 알 또는 다섯 알을 가지고 노는 종목과 방법도 많으며 지방에 따라 각기 다르다. 보통 다섯 알을 가지고 한알집기, 두알집기, 세알과 나머지 한알집기, 네알집기, 다섯알 손등 위에 뒤집기의 순서로 노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행해진다. 손등 위에 올려놓고 뒤집기에 성공한 알의 수로 승부를 결정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