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755년

고구려 유민 출신의 당나라 장수.
당의 서역 원정에 큰 공을 세웠으나 751년 탈라스 전투에서 이슬람 연합군에 패했다.
755년 안녹산의 난에서 토벌군을 이끌고 수도인 장안을 지켰다. 그러나 전투 중 모함을 받아 진중에서 참형되었다.
고선지의 서역 원정은 이슬람을 거쳐 서구 세계에 제지 기술과 나침반 등을 전하는 계기가 되어 동서 문화 교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계의 명장

고선지는 고구려 유민 출신의 당나라 장수이다. 당의 서역 원정에 큰 공을 세웠고 동서 교섭에도 많은 흔적을 남겼다. 당의 사진 절도사, 안서 절도사를 지냈다.

고선지 장군(복원도)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선지의 성은 고구려의 왕성(王姓)인 고씨이다. 이에 따라 그가 고구려 멸망 뒤 당으로 건너간 고구려 왕족의 후손이라 추정하는 견해가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사료는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그가 고구려 사람이었던 것만은 확실한 것 같다. 《구당서(舊唐書)》에는 고선지의 아버지인 고사계(高舍鷄)가 고구려 멸망 이후 중원으로 이주해 하서군(河西軍)에 종군했고, 서역의 사진(四鎭)에서 장군으로 복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자치통감》에는 선임 안서 절도사 부몽영찰(夫蒙靈樽)이 고선지의 공을 시기해 ‘개똥 같은 고구려놈’이라고 욕했다는 대목도 실려 있다.

《자치통감》

북송 시대의 사마광이 편찬한 역사서로 세종의 명령으로 1436년에 간행되었다.

ⓒ 국립중앙박물관(중박201009-394)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신당서》에 따르면 고선지의 외모는 무장과는 거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용맹한 장수 같다기보다는 말쑥하고 수려한 외모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외모처럼 우유부단하지나 않을까 걱정이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활을 쏘고 말을 탈 때의 고선지는 전혀 다른 사람이었다. 그는 곱상한 외모와 달리 영민했고 도량이 컸다고 한다.

고선지는 스무 살 무렵 아버지를 따라 안서군으로 갔다. 그곳에서 그는 아버지가 세운 공으로 인해 유격장군이 되었다. 하지만 당시 그를 큰 재목으로 인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부몽영찰이 그를 여러 차례 발탁했고 얼마 후 언기 진수사가 되었다.

평범한 그가 장수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741년 무렵이다. 톈산(天山) 산맥 서쪽의 달해부(達奚部)가 당나라에 반기를 들고 북상하자, 고선지가 기병 2,000명을 데리고 토벌에 나서 진압에 성공한 것이다. 그는 이 전투를 계기로 서역의 군사 요충지인 사진도 지병마사에 올랐다.

6년 뒤 1차 서역 원정 때는 한층 강화된 전투력을 선보였다. 747년 토번(吐蕃, 티베트)과 사라센 제국(7~15세기까지 인도 서부에서 이베리아 반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일어난 이슬람 왕조를 통칭)이 동맹을 맺고 서쪽으로 진출하려던 당을 견제한 것이 발단이었다. 당이 이에 맞서 싸울 군대를 조직함으로써 고선지는 당시 행영 절도사로 군사 1만 명을 이끌고 파미르 고원을 넘어 토번 족의 군사 기지인 연운보(連雲堡)를 격파했고, 계속 진격해 소발율국의 수도 아노월성(阿弩越城)을 점령하는 성과를 올렸다. 사라센 제국과의 유일한 교통로인 교량을 끊어 양국의 제휴를 단절시킨 이 공로로 고선지는 홍로경 어사중승에 올랐다.

750년에는 사라센 제국과 동맹을 맺으려는 석국(石國, 타슈켄트 부근)을 토벌하고 국왕을 사로잡아 수도 장안으로 호송했다. 고선지는 2차 서역 원정의 공을 인정받아 751년 개부의동삼사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포로로 잡혀 온 석국왕이 참살되자 서역 각국과 사라센이 한꺼번에 탈라스(Talas)의 대평원으로 쳐들어온 것이다. 이들은 당이 투르키스탄 서쪽 지역까지 진출한 것에 격앙된 상태였다. 결국 고선지는 정벌군 3만 명을 추려, 이른바 3차 서역 원정에 나섰다. 하지만 튀르크계인 카를루크 족이 당과의 동맹을 깨고 반란을 일으켜 협공하는 바람에 대패하고 말았다. 탈라스 전투가 끝난 뒤 당현종은 그를 다시 하서 절도사로 보내 우우임군 대장군에 임명했다.

탈라스 전투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755년 현종의 신임을 받던 안녹산이 당나라 국경방비군의 3분의 1가량을 장악하고 난을 일으켰다. 고선지는 즉각 토벌군의 부원수로 임명되었다. 고선지는 안녹산 세력에게 뤄양(洛陽)을 빼앗기고 퇴각하던 당나라 군대를 지원해 전열을 정비했고 반군을 격퇴하여 수도 장안을 지켰다. 하지만 평소 그에게 개인적인 원한이 많았던 부관 변영성(邊令誠)이 당현종에게 고선지가 마음대로 주둔지인 산저우(陝州)를 떠나 퉁관(潼關)으로 이동해 피해를 입혔다고 밀고해 진중에서 참형되고 말았다.

비록 그의 최후는 좋지 않았지만 그가 서역 원정에서 보여준 군사 전략은 후대에 높게 평가되었다. 고선지의 전적지를 직접 답사한 영국 탐험가 슈타인(M. A. Stein)은 고선지를 “세계에서 가장 천재적인 전략가”라고 논평하기도 했다. 또한 서구 사회에서 고선지는 단순한 군사 전략가가 아니라 제지 기술을 이슬람 세계에 전파하여 이슬람 문명과 유럽 문명 부흥의 기반을 닦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윤재운 집필자 소개

고려대 사학과와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사연구실, BK21한국학 교육연구단 국제화팀에서 연구원을 지냈으며,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연구소에서 고대사에 ..펼쳐보기

장희흥 집필자 소개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조선 시대사, 정치사에 관심이 많으며 연구 논문으로 <조선시대 정치권력과 환관>, <소통과 교류의 땅 ..펼쳐보기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 저자윤재운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조선부터 대한민국까지 변방의 무장에서 새 왕조의 주인으로, 이성계 500년 조선왕조의 기반을 다지다, 정도전 태종의 치적 뒤에 자리한 장자방, 하륜 조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세종 청백리의 표상, 황희 신분의 굴레를 뛰어넘은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 왕위 찬탈자인가, 위대한 군주인가, 세조 모사가인가, 지략가인가, 한명회 단종을 향한 일편단심, 성삼문 국력을 신장시킨 외교와 국방의 달인, 신숙주 사림의 영수, 김종직 비운의 폐왕, 연산군 도학 정치를 꿈꾼 급진적 이상주의자, 조광조 조선 최초의 자연철학자, 서경덕 조선 주리철학의 선구자, 이언적 중세의 봉건적 질서에 반기를 들다, 임꺽정 동방의 주자, 이황 조선의 주자학을 일구다, 조식 동서 분당의 시대, 정인홍 어린 천재에서 희대의 정치가로, 이이 전란 속에서 나라를 구한 재상, 유성룡 한국 해전의 역사를 새로 쓰다, 이순신 조선 의학의 집대성 《동의보감》, 허준 천하는 일정한 주인이 따로 없다, 정여립 홍길동의 아버지, 허균 대동법을 실시한 실리적 개혁가, 김육 명분인가 실리인가, 최명길 우리말의 가락을 살려 우리 글자로 쓰다, 윤선도 유림 위에 군림한 정치 사상계의 거장, 송시열 성리학계의 이단아, 윤휴 붓으로 살려낸 만물의 조화, 정선 경세치용의 학문을 열다, 이익 당쟁 속에서 탕평을 실천한 재상, 채제공 못다 한 개혁의 꿈, 정조 정조의 남자, 홍국영 실학의 아버지, 박지원 조선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정약용 한국화의 전통미를 일구어 낸, 김홍도 조선을 뒤흔든 농민봉기의 지도자, 홍경래 한국적 서체를 완성하다, 김정희 자주적 근대화를 주장한 개화 사상가, 박규수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 조선의 마지막 봉건주의자, 이하응 격동의 역사 속 비운의 황제, 고종 풍전등화의 조선에서 치열하게 살다 간 여걸, 명성황후 암살당한 개혁의 불꽃, 김옥균 한국 민중 저항사의 상징, 전봉준 민중 계몽으로 자주독립을 꾀하다, 서재필 청년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운, 안창호 총 한 자루로 제국주의를 처단하다, 안중근 〈님의 침묵〉, 한용운 나라는 망해도 민족은 망하지 않는다, 신채호 항일 무장 투쟁의 영웅, 김좌진 삼천 만 동포에게 고함, 김구 좌익과 우익, 한국 현대사의 갈림길에서, 여운형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 시대를 앞서 간 비운의 여인, 나혜석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받지 않는다, 박정희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전태일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고선지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