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재미있는 영
어 인문학
이야기 4
왜 사람들은 보복의 악순환에 빠지는가?

팃포탯

tit for tat

tit for tat은 “오는 말에 가는 말, 주는 만큼 받는 것, 맞받아 쏘아붙이기, 받은 만큼 되갚기, 보복, 앙갚음”이란 뜻이다. 16세기 네덜란드어 tip for tap에서 나온 말인데, 주먹을 주고받는 걸 뜻했다. 라틴어 quid pro quo(this for that, something for something)와도 관련이 있다.각주1)

예문
Sarah took Jason’s colouring pens, so Jason took her painting book.
세라가 제이슨의 컬러 펜을 가져가자, 제이슨은 세라의 그림책을 가져가는 걸로 대응했다.

I answered his insult tit for tat.
나는 그의 무례함에 무례함으로 답했다.

This, surely, is tit for tat.
이건 분명 보복이다.

They gave me the same kind of difficulty that I gave them. They gave me tit for tat.
그들은 내가 한 것과 똑같은 난제를 가지고 왔다. 나에게 보복을 한 것이다.

The U.S. government caught a foreign spy, and the spy’s government seized an American in a tit for tat.
미국 정부가 외국 간첩을 체포하자 상대국 정부도 보복조치로 한 미국인을 체포했다.
Martin H. Manser, 『Get to the Roots: A Dictionary of Word & Phrase Origins』(New York: Avon Books, 1990), p.225; William Morris & Mary Morris, 『Morris Dictionary of Word and Phrase Origins』, 2nd ed.(New York: Harper & Row, 1971), p.577;「tit for tat」 , 『네이버 영어사전』;「tit fortat」 , 『다음 영어사전』.

tit for tat은 게임 이론에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된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 신경학자들이 피험자들에게 두 사람씩 짝을 짓게 한 뒤에 행한 실험 을 보자. 엘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과 캐럴 태브리스(Carol Tavris)는 『거짓말의 진화: 자기정당화의 심리학』(2007)에서 “각각의 쌍에서 한 사람에게 기계장치로 검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한 후 방금 자신이 느낀 것과 똑같은 압력을 상대의 손가락에 가하라고 했다. 아무리 애를 써도 동일한 힘을 가할 수 없었다. 자신이 받은 만큼의 압력을 가한다고 생각하면서 실제로는 상당히 더 큰 압력을 가했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고통의 악순환이 ‘신경계 정보처리의 자연스러운 부산물’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구 결과는 장난으로 서로 팔을 치던 두 소년이 어느새 주먹다짐을 하게 되는 이유와 두 나라가 보복의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저쪽은 이에는 이로 갚은 것이 아니라 이를 눈으로 갚았다. 우리도 그대로 갚아야 한다. 다리 하나를 손봐주자.’ 양쪽 모두 당한 만큼 되갚는 것이라고 행동을 정당화한다.”
엘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캐럴 태브리스(Carol Tavris), 박웅희 옮김, 『거짓말의 진화: 자기정당화의 심리학』(추수밭,2007),280쪽.

미국 미시간대학 정치학자 로버트 액설로드(Robert Axelrod, 1943~)는 1984년에 출간한 『협력의 진화(The Evolution of Cooperation)』에서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게임을 컴퓨터 토너먼트 형식으로 개최한 결과에 근거해 최상의 전략으로 ‘팃포탯(Tit for Tat)’ , 즉 ‘맞대응(동일 반응 선택)’을 제시 했다. 그는 전문가 14명을 선정해 죄수의 딜레마에서 이상적인 해답을 찾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출해달라고 요청 한 다음 그 프로그램들끼리 경쟁을 붙였는데, 이 경쟁에서 가장 간단한 프로그램이었던 ‘팃포탯’이 승리한 것이다.각주2)

“처음에는 협력한다. 그다음부터는 상대방이 그 전에 행동한 대로 따라서 한다”는 2개의 규칙으로 구성된 팃포탯은 다음 4가지 특성으로 인해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1) 인정많음(먼저 배반자가 되지 않음).

(2) 관대함(상대방이 배반한 적이 있더라도 다시 협력하면 따라서 협력함으로써 협조 분위기를 복원시킴).

(3) 분개(상대방이 배반하면 따라서 배반함으로써 즉시 응징함).

(4) 명료함(단순하여 상대방이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전략).
이인식, 『아주 특별한 과학 에세이』(푸른나무, 2001), 24~26쪽; 마이클 맥컬러프(Michael McCullough), 김정희 옮김, 『복수의 심리학』(살림,2008/2009), 156~160쪽.

액설로드가 내린 결론은 이렇다. “협력의 기초는 신뢰라기보다는 관계의 지속성에 있다. ⋯⋯결국 사람들이 서로를 믿을 수 있는지 여부보다는 안정된 협력의 패턴을 구축할 수 있는 요건이 성숙되었는지 여부가 더 중요하다.”각주3)

팃포탯(tit for tat)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강준만 집필자 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대표 저서로는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펼쳐보기

출처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4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4 | 저자강준만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재미 영어’를 위한 이 책은 심리·마음·두뇌, 정치·갈등·리더십, 역사·사회·변화, 경제·세계화·국제관계, 교육·대학·가족, 인생·삶·행복, 사랑·남녀관계·인간관계,..펼쳐보기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팃포탯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4,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