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흔적
을묘왜변
을묘왜변(乙卯倭變)은 1555년(명종 10) 왜인들이 전라도 남부 지역에 침입하여 약탈과 살인, 납치를 자행한 사건을 말한다. 1510년의 삼포왜란 이래 조선 조정이 일본과의 교역량을 줄이자 경제적 난관을 겪게 된 대마도 등지의 왜인들이 1555년 5월 11일 배 70여 척에 분승하여 전라도 영암의 달량포와 이포에 상륙하여 약탈행위를 자행했다.
이때 가리포 수군첨사 이세린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전라도 병마절도사 원적(元績, ?~1555)은 장흥부사 한온(韓薀), 영암군수 이덕견(李德堅)과 함께 달량포로 출전했다. 그러나 성은 왜구에 의해 포위되었고, 원적은 성안에 양식이 떨어지자 군민들의 목숨을 건지기 위하여 군사들로 하여금 의립(衣笠)을 벗게 하여 항복할 뜻을 보였다. 성벽을 넘어온 왜구들은 원적은 물론 영암군수 이덕견, 장흥부사 한온 등을 모두 살해했다. 전라도 병마절도사 휘하의 군대가 왜구에 의해 궤멸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각주1)
왜구는 그해 5월 하순까지 별 저항을 받지 않고 어란포 · 장흥 · 강진 · 진도 등을 거쳐 다시 영암으로 들어왔다. 조선 조정은 금군(禁軍) 등 서울의 정예 군대를 동원하고, 전직 무신들과 한량, 노비, 승려 등을 강제 징발했다. 한편에서 호조판서 이준경을 전라도 도순찰사, 김경석 · 남치훈을 좌 · 우도 방어사로 임명하여 왜구를 토벌하도록 했다.
지원군이 도착하자 전주부윤 이윤경은 군사를 이끌고 영암으로 가서 남치훈 등과 힘을 합해 5월 25일에 왜구를 격파했다. 왜구는 퇴각하는 길에 녹도(鹿島)를 습격한 데 이어 6월 27일에는 제주도에 상륙했으나, 제주목사 김수문이 왜구를 격퇴했다.
남해안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치는 데 중앙의 군대가 파견되어야 할 정도로 당시 조선군은 군 병력 자체가 얼마 되지 않았고, 왜구를 단속할 함선의 수 또한 많지 않아 왜구 퇴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해 10월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가 조선에 침입했던 왜구들의 수급을 잘라 보내어 사과하면서 세견선의 수를 늘려 줄 것을 요청하자 조선 조정은 이를 승낙했고 교역은 임진왜란 전까지 계속되었다.각주2)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왜관에 머물고 있던 왜인들이 모두 본국으로 소환되었다. 조선 조정은 그때서야 전쟁이 임박했음을 알게 되고 대책을 서둘렀다. 김수를 경상감사, 이광을 전라감사, 윤선각을 충청감사로 임명하여 무기를 점검하고 성을 수축하기 시작했으며, 신립을 경기도와 황해도에, 이일을 충청도와 전라도에 보내 군사시설을 점검케 했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유종문 편역, 『이야기로 풀어쓴 조선왕조실록』(서울: 아이템북스, 2007), 241쪽, 268~269쪽.